8월 15일 광복절 80주년 기념 ‘특별전시’ 5선

5
8월 15일 광복절 80주년 기념 ‘특별전시’ 5선 / 사진=공공누리@국학중앙연구원 공공누리 제1유형
8월 15일 광복절 80주년 기념 ‘특별전시’ 5선 / 사진=공공누리@국학중앙연구원 공공누리 제1유형

오는 8월 15일 금요일, 광복절 80주년 맞이 다양한 특별전시가 진행된다. 올해로 광복 80주년을 맞는 뜻깊은 해를 기념하여 전국 각지의 박물관과 문화기관에서 우리나라의 독립정신과 역사적 의미를 되새겨 본다는 의미다.

일제강점기의 아픔과 광복의 기쁨, 그리고 오늘날까지 이어진 자유와 평화의 소중함을 조명하는 특별전시를 통해 8월 15일 광복절 80주년을 기념해 보는 것은 어떨까?

광복 80주년, 다시 찾은 얼굴들

#국립중앙박물관 1층 대한제국실

*2025.7.15.(화)~10.12.(일)

윤봉길 의사 포스터 / 사진=국립중앙박물관
윤봉길 의사 포스터 / 사진=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은 광복 80주년 기념전시 “광복 80주년, 다시찾은 얼굴들”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오는 7월 15일부터 10월 12일까지 상설전시관 1층 대한제국실에서 열린다.

이번 특별전시에서는 국사편찬위원회가 보존해 온 ‘일제 주요 감시 대상 인물 카드’의 실물이 처음으로 공개된다.

또한, 조국의 독립을 보지 못하고 순국한 안중근, 유관순, 이봉창, 윤봉길, 안창호 등 다섯 분의 독립운동가 얼굴을 인공지능(AI) 기술로 복원하여 새로운 시대의 대한민국 국민과 환한 미소로 맞이한다.

빛을 담은 항일 유산

#덕수궁 돈덕전(1, 2층)

-2025.8.12.(화)~10.12.(일)

빛을+담은+항일+유산 포스터/ 사진=국가유산청
빛을+담은+항일+유산 포스터/ 사진=국가유산청

국가유산청은 광복 80주년을 맞이하여 항일 문화유산을 통해 광복의 의미와 역사적 사건·인물을 조명하고 나라사랑 정신 제고 및 문화유산 가치 확산을 위한  ‘빛을 담은 항일 유산’ 특별전을 덕수궁 돈덕전에서  8.12.(화)~10.12.(일) 62일간 개최한다.

부산의 학생들, 독립을 외치다

#부산교육역사관 기획전시실 2층

-2025.05.13.(화)~2026.01.25.(일)

수원시가 발굴한 13인의 독립운동가 포스터 / 사진=수원광교박물관
수원시가 발굴한 13인의 독립운동가 포스터 / 사진=수원광교박물관

수원광교박물관은 2025년 광복 80주년을 맞이해 「수원시가 발굴한 13인의 독립운동가」 전시를 개최한다. 3·1운동이 가장 격렬하게 일어났던 수원은 종교인, 농민과 상인들, 학생, 기생까지 전 계층이 만세운동에 참여했다.

그 과정에서 수많은 애국지사가 조국의 독립을 위해 목숨을 바쳤지만, 아직까지도 그 공적을 인정받지 못한 분들이 상당히 많다.

그러나 노력 끝에 수원시는 독립운동가분들을 발굴해 냈고, 이번 전시는 새롭게 발굴한 13인의 독립운동가를 소개하기 위해 마련했다.

부산의 학생들, 독립을 외치다

#부산교육역사관 기획전시실 2층

-2025.05.13.(화)~2026.01.25.(일)

2025년 부산교육역사관 기획전 ≪부산의 학생들, 독립을 외치다≫는 광복 80주년을 기념해, 부산 지역 학생들이 주도한 독립운동의 역사를 조명한다. 이번 전시는 1919년 부산에서 시작된 3.1운동과 학생들의 항일 운동을 중심으로 구성됐다.

일본의 억압과 차별 속에서도 독립을 외쳤던 학생들의 이야기와 독립운동의 가치를 다양한 방식으로 이어가려는 오늘날의 노력도 함께 만나볼 수 있다. 

제주에 나빌레라-광복 80주년 기념 석주명 특별전

#국립제주박물관 기획전시실

-2025.07.04.(금)~2025.10.19.(일)

제주에 나빌레라-광복 80주년 기념 석주명 특별전 포스터 / 사진=국립제주박물관
제주에 나빌레라-광복 80주년 기념 석주명 특별전 포스터 / 사진=국립제주박물관

7월 4일(금)부터 〈제주에 나빌레라-광복 80주년 기념 석주명 특별전〉(2025. 7. 4.~10. 19.)을 국립제주박물관에서 개최한다. *석주명에게 “제주는 왜 그리 특별했던 것인지?” 그 질문을 광복 80주년을 맞아 풀어보는 전시가 진행된다.

이 외에도 수많은 전시품으로 석주명의 생애와 한국의 나비 문화도 함께 느껴볼 수 있다.

*석주명

나비박사 석주명(1908~1950)은 제주와의 인연을 계기로 방언·인구·민속 등 자연과학과 인문학을 아우른 학자였다.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