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AT, EU 집행위원회 자료 분석 보고서 발간

최근 글로벌 기업들의 연구개발(R&D) 투자가 집중된 분야는 주로 제약, 생명공학,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 분야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은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 산하 공동연구센터가 작년 12월 발표한 ‘2024년 EU 산업R&D 투자 현황(EU 스코어보드)’ 자료를 분석·정리했다고 23일 밝혔다.
2023년 자료 기준 EU 스코어보드에 따르면 세계 R&D 투자 상위 2000개사의 투자 총액은 1조2574억 유로(약 1892조3000억원)이며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업종은 제약 및 바이오(360개사)였다.
이 분야 기업들의 R&D 총투자액은 2317억9100만 유로(약 348조8000억원)에 달한다.
AI 분야와 연관돼 있는 소프트웨어 업종은 275개사(13.8%)로 기업수로는 제약 업종보다 적지만 투자액 기준으로는 2413억5000만 유로(약 363억2000억원)로 가장 많이 금액이 투자됐다. 글로벌 연구개발 투자액의 상당 부분(37.6%)이 제약과 바이오, AI 분야에 이뤄진 셈이다.
국가별로 보면 미국(681개), 중국(524개), 일본(185개) 순이었으며 국내 기업은 총 40개가 포함되어 8번째 순위를 기록했다.
EU 스코어보드에 포함된 국내 기업들은 KIAT가 매년 발간하는 국내 1000대 R&D 투자 현황에서도 260위 안에 포진돼 있다.
국내서도 소프트웨어와 바이오 업종의 부상은 눈에 띈다. KIAT 조사 결과 1000대 R&D 기업 중 소프트웨어와 바이오 업종의 투자 규모는 상위 5위(SW 2위, 바이오 5위)에 포함돼 있다.
10년 전과 비교해 새롭게 진입한 기업 수(168개사)도 제조업(337개사) 다음으로 많아 산업구조의 변화 움직임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1조원 이상 투자한 상위 9개 기업 대부분은 반도체, 자동차 기업으로 해당 기업의 R&D 투자액(44조5000억원)이 1000대 기업 전체 투자액의 61%를 차지하고 있어 산업구조 전환을 준비하는 R&D 투자 다변화도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민병주 KIAT 원장은 “글로벌 산업 환경 변화에 선제 대응하려면 바이오, AI 등 미래 유망 업종에 대한 전략적 R&D 투자를 촉진해야 한다”며 “세계 상위권 R&D 투자 규모(3.4%, 8위)에 걸맞도록 R&D 성과에 대한 사후 사업화 지원을 체계적으로 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윤석열·이재명 동반청산은 국민의 뜻”…이낙연의 사자후
- ‘1박2일’ 멤버들, 촬영 중 집단불안 호소…‘오징어게임’ 강제 참가?
- ‘영장쇼핑’ 의혹 주말 내내 진통…與 “평양법원에도 알아볼 판”
- 3월 공매도 재개…예상되는 효과와 수혜주는?
- [데일리 헬스] ‘박성광♥’이솔이, 아침 사과 한 조각도 독…’이것’ 가족력 때문
- 경제 8단체 “경제 부작용 미치는 상법 대신 지본시장법 개정 논의 집중해달라”
- 농진청, 희소 한우 체외수정란 생산율 증가 기술 개발
- 기업 절반 “상법 개정, 기업경영에 부정적…투자·M&A 위축”
- 디딤돌·버팀목 대출, 지역 간 금리 차등화…지방 악성 미분양 구입은 우대
- 영농정착지원금 수령 받는 청년농업인, 농외근로 제한 폐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