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퇴직연금 실물이전 서비스가 개시된 이후 3개월 동안 적립금 약 2조4000억원(3만9000건)이 이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실물이전은 퇴직연금 가입자가 계좌 내 운용 중이던 상품을 매도(해지)하지 않고 다른 퇴직연금 사업자의 계좌로 옮기는 것을 말한다.
특히 이전된 적립금 중 약 1조8000억원(75.3%)은 계좌 내 운용 중이던 상품이 그대로 이전된 것으로 나타나 실물이전 서비스 도입으로 가입자는 본인에게 적합한 퇴직연금 사업자로 손쉽게 이전할 수 있는 등 선택권이 확대됐다고 평가된다.
23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실물이전 서비스를 통해 이전(이관회사→수관회사)된 전체 적립금 중 은행→은행(7989억원) 이동이 가장 큰 규모를 차지했다. 은행→증권사(6491억원), 증권사→증권사(4113억원) 등 순으로 이동 규모가 컸다.
이전에 따른 순유입 금액 기준으로는 증권사는 4051억원 순증을 기록했다. 은행은 마이너스(-) 4611억원 순유출을 보이면서 전반적으로 증권사로의 이동이 확대됐다.
퇴직연금 제도별로는 실물이전 서비스로 이전된 적립금 2조4000억원 중 개인형IRP가 9229억원(38.4%), 확정급여형(DB)이 8718억원(36.2%), 확정기여형(DC)이 6111억원(25.4%) 등 제도별로 고르게 이전이 진행되고 있다.
제도별 순유입 금액 기준으로는 IRP 및 DC는 증권사가 순증(각각 3753억원, 2115억원)을 기록한 반면, DB는 보험사 및 은행이 순증(각각 1050억원, 768억원)으로 나타나는 등 운용주체에 따라 선호하는 퇴직연금 사업자의 업권이 상이했다.
고용부는 “실물이전을 원하는 가입자의 편의를 높이기 위해 계좌내 보유한 상품의 실물이전 가능 여부를 실물이전 신청 전에 조회할 수 있는 ‘사전조회 서비스’를 상반기 내에 추가 개발·오픈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DC 계좌에서 타사 IRP 계좌로의 실물이전도 가능하도록 해 가입자의 금융기관 선택권을 더욱 확대하겠다”고 덧붙였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윤석열·이재명 동반청산은 국민의 뜻”…이낙연의 사자후
- ‘1박2일’ 멤버들, 촬영 중 집단불안 호소…‘오징어게임’ 강제 참가?
- 3월 공매도 재개…예상되는 효과와 수혜주는?
- ‘영장쇼핑’ 의혹 주말 내내 진통…與 “평양법원에도 알아볼 판”
- “한덕수 총리 복귀해, 국정 안정·외교 공백 잡아야”
- 가스공사, 휴일 없이 동절기 천연가스 수급·해빙기 안전 점검
- ‘원조 중도’ 안철수, 사실상 대권 도전 시사…국회서 기자회견
- [속보] 권성동 “이재명 재판, 대통령 당선돼도 계속 진행…상식”
- [속보] 권성동 “공수처 ‘영장쇼핑’ 사실로 드러났다…오동운 사퇴해야”
- “AI 실무 인재 찾습니다”…KT, 에이블스쿨 잡페어 열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