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전기차 화재의 위험성

44

최근 수년간 전기차 보급이 급속도로 확대되면서 전기차 화재가 3년 만에 3배 수준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일부 언론에서 전기차의 화재 발생 확률이 내연기관 차량에 비해 더 크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얼마 전 YTN에서 보도된 뉴스는 전기차 화재에 대한 일반인들의 공포심을 잘 나타냈다. 일부 공동주택 입주민 대표가 운영위원회 결정이라고 하면서, 전기차의 지하 주차장 진입을 금지하는 규칙을 만들어, 전기차 소유주를 압박하면서 여러 논란과 갈등이 빚어진 것이다. 물론 전기차는 화재가 발생하면 매우 취약하다. 리튬이온 배터리가 저장된 에너지를 모두 소진할 때까지 열폭주 하면서, 현재까지는 효율적으로 진화할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최근에는 전기차 충전기를 지상에 설치하는 공공주택이 늘고 있다. 또한 지하 주차장의 경우는 가능한 입구에 설치하도록 하여, 만약의 사태에 소방차의 접근이 쉽게 대처하고 있다. 
 
그런데, 엄밀히 따지면 전기차의 화재 발생 가능성이 내연기관에 비해 더 큰 것은 아니다. 전기차 화재를 2017년부터 2022년까지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2017년 1건을 시작으로, 2018년 3건, 2019년 7건, 2020년 11건 그리고 2021년 23건 등으로 증가추세인 것은 확실하다. 2023년까지 화재 건수가 총 132건으로 알려져 있다. 보통 내연기관 차량의 화재는 매년 5천 건 정도 발생한다. 우리나라 차량 등록 대수가 2,700만 대 수준이니까, 대량 0.02% 수준이다. 전기차 화재의 경우는 전기차 보급 초기에는 0.002% 수준으로 일반 내연기관 차량의 화재 확률보다 1/10 수준으로 낮았다. 그런데 최근 전기차 화재가 급증하면서, 실제 내연기관과 비슷한 수준으로 올라가고 있다. 배터리가 노후화되면서 피로와 배터리에 가해지는 충격이 누적되고, 조금씩 잔고장이 쌓이면서 화재 건수가 급격히 상승하는 중이다. 이제는 내연기관 차량의 화재 비율과 비슷한 0.02% 수준까지 올라왔다. 내년쯤에는 혹시 내연기관 차량보다 화재 확률이 높아질 수도 있겠으나, 현재까지는 동등한 수준이라고 평가되고 있다. 다만 발생한 화재가 2차 피해로 이어지는 측면에서 전기차가 훨씬 위험하다는 것이 공포를 자아내는 원인이다. 
 
그렇다면 급증하는 전기차 화재의 원인은 무엇일까? 첫째는, 전기차 배터리 기술의 한계를 꼽는다. 배터리가 화재에 취약한 소재로 이루어져 있고, 특히나 외부 충격에 매우 민감한데도 불구하고, 자동차는 고정된 것이 아니고, 늘 이동하면서 외부 충격에 노출되기 쉽다. 다음으로는 화재 예방 대책이 아직은 미흡하다. 제작사들은 충전 중에 배터리 셀의 상태를 모니터링 후 위험이 감지될 경우, 전원 차단 및 차주에게 경고를 보내는 프로그램을 운용 중이다. 마지막으로는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 효과적으로 진압하는 방법이 아직은 없다는 것이다. 결국 전기차 화재는 예방과 대책이 모두 미흡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지난 18일 현대차와 기아가 소방청·한국자동차공학회·5개 대학과 ‘전기차 화재 대응 소방 기술 공동개발 협약’을 체결했다. 전기차 화재에 빠른 감지와 대응 능력 강화를 위한 것인데, 전기차 화재 예방 및 진화를 위한 원천 기술 개발·현장 적용 기술 개발·제도화 방안 연구 등에서 협력하기로 한 것이다. 늦은 감이 있으나, 지금이라도 공동연구를 통한 좋은 성과를 기대하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일반 운전자들이 전기차 구매에 두려움이 없길 바란다.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