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中 완성차업계 경쟁 본격화…정부 지원사격 ‘시급’

243

중국 완성차업체들이 전동화와 자율주행 기술을 앞세워 글로벌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는 가운데 국내 기업들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정부 지원이 시급하다는 진단이 나왔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는 28일 ‘중국 자동차산업 경쟁력 현황’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5월 중국의 신에너지차 생산은 전년 대비 45.1%, 판매는 46.8%, 전체 자동차 생산의 28.1%, 판매의 27.7%를 차지했다.

같은 기간 신에너지차 수출은 전년 대비 162.6% 증가하며 전체 자동차 수출의 26%를 차지했다. 이 같은 중국의 신에너지차 수출 증가는 배터리 공급망 및 가격 경쟁력 확대, 상하이 테슬라 기가팩토리 생산몰량 증가 등에서 기인했다는 분석이다.

글로벌 시장에서 중국 업체의 영향력도 커지고 있다. 지난해 1~5월 상위 10위권에 속한 중국 업체는 비야디(BYD)와 지리그룹 2개 뿐이었으나 올해에는 두 기업 외 상하이자동차그룹, 광저우자동차 그룹이 추가 진입했다.

자국 기업들의 미래차 부문 경쟁력이 높아지자 중국 정부는 자율주행 기술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교통시스템 구축에 힘을 싣는 모습이다. 특히 자율주행 표준 및 기술 연구개발(R&D) 정책을 강조하며 2025년까지 레벨 2·3 자율주행차 판매 비중을 신차 판매의 50%까지 늘릴 계획이다.

보고서는 중국의 자율주행 수준이 현재 레벨 2에서 레벨 3으로 이동하는 과도기에 있다고 분석했다. 중국 36kr 연구소의 중국자율주행산업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중국 신차 가운데 레벨2 탑재 비율은 35%, 레벨3는 9%였다. 올해는 각각 51%와 20%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완성차업체들은 자율주행 기술 뿐만 아니라 ICT기업, 반도체기업, 라이다 기업 등과의 제휴를 통해 주행 데이터 수집의 효율성과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는 상황이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보고서는 ▲성장 잠재력이 큰 시장과의 신규 FTA 조기 체결 ▲기술 협력 및 공적개발원조(ODA) ▲우호적인 교역환경 조성 ▲자동차 및 관련 산업의 수출 확대 방안 포색 등을 정부에 주문했다.

미래차 생태계 조성을 위한 특별법 제정도 강조했다. 강남훈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 회장은 “미래차의 핵심 부품인 배터리의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 국내 미래차 생산 기반 구축, 핵심 인력 훈련 양성 등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특별법의 조속한 제정과 노동 유연성 확보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서울=뉴시스]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