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 딜런이 된, 티모시 샬라메와의 인터뷰

45
〈컴플리트 언노운〉에서 밥 딜런을 연기한 배우 티모시 샬라메. 2월 26일 개봉.

〈컴플리트 언노운〉에서 밥 딜런을 연기한 배우 티모시 샬라메. 2월 26일 개봉.

〈컴플리트 언노운〉은 1961년, 막 뉴욕에 도착한 스무 살의 밥 딜런(Bob Dylan, 1941~)의 모습으로 시작된다. 뮤지션 최초 노벨문학상 수상자이자 문화적 격변기에 음악으로 세상에 맞선 그를 소재로 만든 영화와 다큐멘터리는 그 역사가 유구하지만 〈컴플리트 언노운〉이 어딘지 좀 낯설고 생동감 넘치는 이유는 밥 딜런 그 자체가 된 배우 티모시 샬라메 때문일 것이다. 영화는 밥 딜런의 비교적 알려지지 않은 청년 시절을 다룬다. ‘꾸밈없고 진실한, 진정성이 담긴 작품’을 만들려는 제임스 맨골드 감독의 요청에 따라 티모시 샬라메는 20여 곡을 직접 라이브로 소화하고 하모니카와 기타 연주, 밥 딜런의 자세와 목소리 사용법까지 연구하며 5년 6개월이라는 경이로운 시간을 쏟아부었다. 그 결과 티모시 샬라메의 목소리로 탄생한 밥 딜런의 명곡과 사운드, 드라마, 의상과 세트, 배우들의 연기가 완벽한 앙상블을 이루는 1965년 뉴포트 포크 페스티벌 무대 재현은 가히 압도적이다! 흔한 전기영화의 공식대로 밥 딜런의 음악적 고뇌를 구슬프게 풀어놓거나, 실제 타임라인을 베낀 듯 그대로 옮겨오거나, 그를 조각조각 해부하지 않은 채 자유롭게 풀어놓은 것은 이 영화만의 미덕이 분명한 가운데, 배우는 밥 딜런과 자신을 통해 무엇을 보려 했을까? 단언할 수 있는 한 가지는 그는 결코 밥 딜런을 흉내 내지 않았다는 것이다. 아래는 티모시 샬라메가 〈엘르〉코리아에 보내온 목소리다.

〈컴플리트 언노운〉 스틸컷.

〈컴플리트 언노운〉 스틸컷.

〈컴플리트 언노운〉은 밥 딜런의 숨겨진 4년을 다뤘다는 점에서 특별합니다. 그의 인생 전체가 아닌 일부분, 특히 그가 여전히 자신을 만들어나가던 시기에 초점을 맞췄다는 점이 당신에게는 어떤 매력으로 작용했나요
영화 속 4년은 밥 딜런의 인생에서 아주 흥미로운 시기예요. 영상 자료도 별로 없어서 기록되지 않은 시기이기도 하죠. 특히 1961년과 1963년이 그래요. 그가 포크 음악에서 로큰롤로 역사적 전환을 한 시기이기도 하니까. 제가 연기할 수 있는 나이대를 기준으로 이 시기가 선택된 건 아니지만, ‘밥 딜런이 밥 딜런이 된’ 시기인 건, 분명 제게도 대단히 흥미롭게 다가왔습니다.

당신의 연기는 꼭 ‘서커스’를 보는 것 같았습니다. 신기한 묘기를 보면 퍼포먼스라는 것도 잊고 푹 빠지기도 하잖아요
서커스라니! 정말 멋진 표현이자 칭찬이에요(웃음).

프로듀서인 알렉스 하이네만은 “그냥 똑같이 흉내 내거나 완벽하게 똑같이 재현하려고 해서는 안 된다. 티모시 샬라메는 밥 딜런을 깊이 연구하고 그의 음악과 그가 살았던 세계에 대해 철저하게 익혔지만 최종적으로 그것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밥 딜런을 만들었다”고 말하더군요. 몸에 정말로 밥 딜런의 피가 흐르는 것 같은 연기가 어떻게 가능했을까요
밥 딜런의 음악과 그 사람 자체를 오랫동안 연구했어요. 그 과정에 더 많은 시간이 주어져서 가능했던 것 같습니다. 영화는 2020년 촬영 예정이었지만 갑작스럽게 팬데믹이 닥쳤고, 2023년 여름 배우조합 파업으로 또 촬영이 연기돼 예정보다 시간이 많아져 모든 것에 깊이 파고들 수 있었어요. 밥 딜런이라는 사람, 그의 기타 연주, 밥 딜런에 관한 책들, 조안 바에즈나 폴 클레이튼 같은 동시대 아티스트들, 그 시대의 음악 등 전부 다요. 언제부턴가 호기심과 열정이 커져 ‘일’이라는 생각이 들지 않더라고요.

지난 UK 프리미어 행사에서 관객과 소통한 티모시 샬라메. 영화는 제97회 아카데미 어워즈 8개 부문 후보에 올랐다.

지난 UK 프리미어 행사에서 관객과 소통한 티모시 샬라메. 영화는 제97회 아카데미 어워즈 8개 부문 후보에 올랐다.

정말 열정이 없으면 안 될 일이겠습니다(웃음)
맞아요, 모든 곡을 다 라이브로 소화했거든요.

본인의 기준도 굉장히 높았을 텐데, 라이브로 모든 곡을 소화할 준비가 됐다는 걸 언제 깨우쳤나요
라이브로 노래하기로 한 결정이 제가 자존감이 없거나 낮아서였는지, 아니면 정반대로 자존감이 과해서였는지 잘 모르겠어요. 어쨌든 음악이 너무 좋았고, 라이브로 부를 기회가 있어서 좋았거든요. 그 시절에 사용하던 마이크와 극장, 사운드 효과가 마련돼 있어서 더 좋았어요. 특히 1963년 브랜다이스 대학 공연 실황을 비롯해 밥 딜런의 오리지널 녹음본들은 정말 짜릿하죠. 최고의 노래일 거예요. 그런 멋진 곡을 라이브로 부르고 싶었죠.

실제로 공연을 보는 것처럼 영화 속 공연이 끝나자마자 관객석에서 박수가 나오더군요
와, 정말 그랬어요? 저도 정말 그 자리에 있는 것처럼 몰입감이 대단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컴플리트 언노운〉에서 함께 호흡을 맞춘 조안 바에즈 역의 모니카 바바로와 티모시 샬라메.

〈컴플리트 언노운〉에서 함께 호흡을 맞춘 조안 바에즈 역의 모니카 바바로와 티모시 샬라메.

제임스 맨골드 감독이 정말 잘 찍었다는 증거이기도 합니다. 〈컴플리트 언노운〉 작업 과정에서 그와의 호흡은 어땠나요
감독님은 내내 저를 믿음직하게 이끌어줬어요. 호아킨 피닉스 주연의 〈앙코르〉처럼 이런 종류의 영화를 만들어본 경험이 있으니까요. 무엇보다 도움이 됐던 건 이 영화가 단순히 사실적이고 단계적인 재현을 넘어 예술적 허용이 가능한 이야기라는 점을 그가 깊이 이해하고 있었다는 점이었죠.

밥 딜런은 투명하지 않은 사람이라 주변 인물을 통해 그를 유추할 수 있잖아요. 밥 딜런의 멘토인 피트 시거 역의 에드워드 노튼이나, 밥 딜런의 뮤즈이자 연인인 실비 루소를 연기한 엘 패닝 등의 동료들은 당신이 이 세계에 흠뻑 몰입하도록 해주었을지, 마지막으로 묻겠습니다
동료 배우들도 이 작품에 상당히 몰입했습니다. 저도 마찬가지였고요. 다들 굉장히 집중했죠. 저마다 자신의 캐릭터에 대한 애착이 상당했거든요. 마치 각자의 영화를 찍는 것처럼 말이죠. 덕분에 저도 연기에 더 몰입할 수 있었어요. 솔직히 모든 것이 진짜 같았거든요. 모두가 이 이야기에 진심 어린 애정을 쏟아부었습니다.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