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그룹이 지난해 전세계에서 723만1000대를 판매하며 판매량 기준으로 글로벌 완성차 ‘빅3’ 자리를 지켜냈다. 2022년 이후 3연속 3위에 이름을 올리면서 글로벌 대표 완성차업체로서 입지를 공고히 했다.
전반적으로 글로벌 판매 시장이 위축됐지만 현대차그룹과 글로벌 1·2위인 도요타그룹·폭스바겐그룹과의 판매량 격차는 전년보다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현대차그룹과 도요타그룹, 폭스바겐그룹과의 판매량 격차가 각각 392만9000대, 193만6000대였지만 지난해에는 358만9000대, 179만9000대까지 좁혀진 것.
일본 교도통신은 30일 현대차그룹이 지난해 도요타그룹, 폭스바겐그룹에 이어 글로벌 자동차 판매량 기준으로 3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글로벌 자동차 판매량 1위 도요타그룹은 지난해 전 세계에서 1082만여대의 신차를 판매했다.
이는 경쟁업체인 폭스바겐그룹 판매량보다 100만대 이상 많다. 도요타그룹은 지난해까지 5년 연속 판매량 기준 글로벌 완성차 1위를 지켜냈다.
2위는 전년 대비 2.3% 감소한 903만대를 전 세계에서 판매한 폭스바겐그룹이 차지했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작년 경기침체와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영향으로 대다수 글로벌 완성차업체들의 판매량이 전년 대비 감소했다. 하지만 현대차그룹의 판매 감소량(1.0%)이 도요타그룹(3.7%), 폭스바겐그룹(2.3%)보다 적었던 것이 판매량 격차 축소로 이어졌다.
교도통신은 품질인증 부정 문제 여파에 따른 일부 공장의 생산 일시 정지와 중국 시장 내 경쟁 격화 영향으로 도요타그룹의 지난해 자동차 판매가 줄었다고 풀이했다.
또 폭스바겐그룹의 경우 전체 판매량의 30%가량을 차지하는 중국 시장에서의 부진이 판매량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한편, 현대차그룹은 2000년 10위를 기록한 이후 지속적으로 순위가 올랐다. 2010년에는 미국 포드를 제치고 처음으로 ‘톱5’에 진입했다.
하지만 자동차업체 간 치열한 경쟁으로 만년 5위에 머물렀던 현대차그룹은 코로나19 사태가 덮쳤던 2020년에야 4위에 이름을 올렸다.
이듬해인 2021년 다시 5위로 떨어졌지만 1년 만인 2022년 두 계단 뛰어오르며 3위에 올랐고, 같은 순위를 3년간 유지하며 빅3에 안착했다.
- 삼성전자 “자사주 매입 89% 완료…보통주 363원 현금배당”
- 소프트뱅크, 오픈AI 최대주주 되나…”오픈AI에 최대 36조원 투자 검토”
- 친환경 핵심연료 ‘수소’ 저렴하게 생산 가능해져…KAIST, ‘백금 촉매 사용량 10분의 1로 줄여’
- 삼성전자 4분기 반도체 부문 영업이익 2.9조 그쳐…”1분기 실적 개선도 제한적”
- 외식물가 끌어올린 주범은 자장면…10년새 65%나 급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