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로 글로벌 관세 전쟁 우려가 커지면서 미국 경기 침체 가능성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

7일(현지 시각)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향후 12개월 내 미국이 경기침체에 빠질 확률을 기존 35%에서 45%로 상향 조정했다. 불과 한 달 전 20%에서 35%로 올린 데 이어 또 한 번의 상향이다. 골드만삭스는 “금융 여건 악화와 정책 불확실성으로 기업 투자 위축이 예상보다 클 것”이라고 분석했다.
JP모건도 올해 미국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3%에서 -0.3%로 수정했고, UBS와 바클레이 등도 기술적 침체와 역성장을 경고하고 나섰다.
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가능성에도 무게가 실리고 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아직 정책 전환을 말하긴 이르다”고 선을 그었지만, 시장은 다음 달 금리 인하를 기정사실로 보는 분위기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은 53.4%로, 일주일 전보다 두 배 이상 급등했다. 시장에서는 6월 금리가 현재(4.25~4.50%)보다 낮아질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며 12월엔 최대 1%포인트 이상 하락할 것이란 예측이 86%에 달한다.
이 같은 전망은 국채시장에도 반영돼, 미 10년물 국채금리는 3.9% 수준에서 등락 중이다.
- 3000만원 이상 공공발주 공사도 인건비·자재비 구분 지급해야
- 관세 없애고 줄줄이 미국행… 트럼프 공세에 각국 ‘비상’
- 트럼프, LA다저스 한국계 에드먼에 ‘엄지 척’… “재능 많아”
- 트럼프 대통령, 오타니 쇼헤이 만나 “영화배우 같다” 칭찬
- “오디오, 조단위 사업으로 육성”… LG전자, 윌아이엠과 협업한 ‘LG 엑스붐’ 신제품 공개
경제 랭킹 인기글
경제 최신 인기글
-
“피 같은 돈 21조 쪽쪽 빨아먹고도 모자랐나”… 대통령까지 ‘분노 폭발’, 서민들 등골 노린다
-
“대한민국은 역시 부동산의 나라인가” … 주식·코인보다 이곳에, ‘짠희’ 임원희도 선택한 투자처의 정체
-
“절반이 일반인과 결혼?” … 대기업 총수 자녀 최근 10년 변화, 외국인·일반 직장인 배우자 급증
-
“결국 사장이 없어도 돌아가는 회사” … 성공 사업가 DNA 분석, 시스템 구조화·자동화가 장기 성공 비결
-
한국 이겨보겠다더니 “이게 무슨 망신”… 예상 못한 전개에 중국 지도부까지 ‘허둥지둥’
-
“2040년엔 37.8%까지 증가” … 여성 가장 가구 급증, 경제적 현실과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