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상자 밀려든 테헤란 병원 ‘마비’…“실제 사망자, 공식 발표보다 많아”

231

이스라엘의 기습적인 선제공격으로 촉발된 이란과의 무력 충돌이 닷새째 이어지는 가운데 이란 수도 테헤란의 병원들이 급증하는 부상자 수용에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16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17일(현지 시각) 이스라엘 헤르츨리야에서 이란의 미사일 공격 이후 긴급대원들이 버스에 물을 뿌리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17일(현지 시각) 이스라엘 헤르츨리야에서 이란의 미사일 공격 이후 긴급대원들이 버스에 물을 뿌리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이스라엘의 공습은 테헤란 시내 곳곳에서 발생했으며 미사일 파편과 화상, 내출혈, 사지 골절 등으로 크고 작은 부상을 입은 환자들과 사망자의 시신이 주요 병원 응급실로 속속 이송되고 있다. 응급의료체계는 사실상 마비 상태에 가까운 상황이다.

테헤란 이맘 호메이니 병원의 한 의사는 “생명을 위협받는 중상자부터 경상자, 사망자까지 수십 명씩 밀려들고 있다”며 “비탄에 빠진 가족들과 환자들로 병원은 말 그대로 아수라장이 됐다”고 현장 상황을 전했다.

양측 간 미사일 공방이 거세지면서 응급실에 이송되는 환자 수도 급증하고 있다. 이 의사는 “걸음마를 하는 아기부터 노인까지 내원자 연령대는 매우 다양하다”며 “엄마들이 피를 흘리며 아이를 안고 들어오는데, 아이를 내려놓고 나서야 자신이 다친 것을 깨닫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사흘은 마치 사진으로 보던 이란-이라크 전쟁을 직접 겪는 느낌이었다”며 “부상은 끔찍했고, 전선 야전병원에서 일하는 것처럼 느껴졌다”고 토로했다. 이어 “식사나 물 마실 시간도 없이 교대 근무를 이어가고 있다”며 “아침 이후 더 많은 시신이 실려올까봐 두렵다”고 말했다.

한편 이란 당국은 16일 오전 기준으로 전국 대학병원에 이송된 부상자는 1277명, 사망자는 224명이라고 발표했다. 그러나 이맘 호메이니 병원 관계자는 “실제 사상자 수는 정부 공식 발표보다 훨씬 많다”고 주장했다.

병원 중환자실 의료진에 따르면 당국은 사상자 관련 정보를 소셜미디어에 게시하지 말라는 지침도 내린 상태다. 이로 인해 정부 발표와 실제 피해 규모 간 괴리가 존재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란 보건부는 이스라엘이 정밀 타격 대상으로 삼고 있다고 주장하는 시설 대부분이 민간 지역에 인접해 있다며 현재까지 발생한 사상자의 90% 이상이 민간인이라고 밝혔다.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