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 파업으로 무통 주사도 못 맞아” 황보라 발언에 강력 조치 나선 의협 (+이유)

2656

배우 황보라가 의료 파업 영향으로 제왕절개 수술 후 무통 주사를 맞지 못했다는 주장을 펼친 것에 관해 대한의사협회(의협)가 강력하게 반박했다.

배우 황보라(좌)와 의협 건물 내 의료진 / 뉴스1

의협은 18일 성명을 통해 “황보라 씨가 제왕절개 후 무통 주사를 맞지 못한 이유로 의료 파업을 언급한 것은 심각한 오해다. 그 당시엔 의사 파업이 진행되지 않았다”고 운을 뗐다.

그러면서 “황 씨가 제왕절개로 분만한 지난 5월에는 의사 파업이 없었기 때문에 무통 주사를 맞지 못했다는 주장은 명백히 잘못된 것”이라고 강조했다.

황보라는 지난 16일 자신의 출산 경험을 유튜브 ‘웤톡’을 통해 상세히 설명했다.

그는 “분만실에 들어가기 전 눈물이 많이 났다. 하반신 마취를 한 후 배 위에 압박이 느껴졌고, 아기의 울음소리를 들었다. 그 후 병실에서 깨어났을 때는 생각보다 더 큰 통증이 있었다. 마치 누군가가 칼로 배를 찢는 듯한 고통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페인버스터라는 장치가 있다고 들었지만, 나는 그것을 사용할 수 없었다. 의료 파업 때문에 담당 의사가 없었다는 설명을 들었다. 출산 후 2~3일이 지나고 나서야 통증이 조금 나아졌다”고 주장했다.

배우 황보라가 의료 파업 영향으로 제왕절개 수술 후 무통 주사를 맞지 못했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 유튜브 ‘웤톡’

페인버스터는 제왕절개 수술 부위에 신경 조직을 차단하고 통증을 조절하는 약물로, 보통 수술 중에 시행되는 시술이다.

의협은 이에 대해 “무통 주사와 페인버스터는 제왕절개 수술 중에 시행되는 시술이다. 황 씨가 수술 후에 의사가 없어서 무통 주사를 맞지 못했다는 주장은 논리적으로도 맞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마지막으로 “잘못된 사실을 게시한 황 씨 측은 해당 게시물을 정정 또는 삭제 조치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스타를 위해 투표하세요! 스타의 이름으로 기부됩니다.

+1
0
+1
0
+1
3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