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 심각하다…요즘 스팸 문자 늘어난 이유 드러났다

16

최근 문자 대량 발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업자가 해킹을 당해 불법 스팸이 급증한 것으로 드러났다.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MMD Creative-shutterstock.com

방송통신위원회(이하 방통위)는 한국인터넷진흥원(이하 KISA)과 함께 악성 스팸 문자 발송이 급증한 원인을 조사하기 위해 긴급 현장점검에 착수했다고 20일 밝혔다.

KISA에 따르면 지난 1일부터 17일까지 접수된 스팸 신고 건수는 2796만 건이다. 지난달(1988만 건)에 비해 40.6% 증가했다. 특히 주식투자, 도박, 스미싱 관련 문자가 크게 늘었고 주요 발송 경로는 대량 문자 발송 서비스인 것으로 나타났다.

KISA는 일부 문자재판매사가 해킹된 데 따른 영향이 악성 스팸 급증의 주요 원인 중 하나라고 밝혔다. 업계 관계자는 뉴시스에 “최근 제보로 일부 문자재판매사의 해킹 사실을 확인했다”면서 “같은 솔루션을 쓰는 다른 업체들도 피해를 보았을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방통위는 불법 스팸 문자 발송률이 높은 문자중계사와 문자재판매사의 법적 의무 위반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긴급 현장점검에 나설 계획이다. 이번 조사에서 불법 스팸 발송이 확인된 사업자와 이를 방조한 사업자에 대해서는 정보통신망법에 따라 과태료 부과 또는 경찰 고발 조치를 취할 예정이다.

또한 문자 발송 시스템 해킹, 발신 번호 거짓 표시, 개인정보 침해 등 추가 피해가 확인되면 관계 부처와 협력해 대응할 방침이다.

방통위는 국민에게도 출처가 불분명한 문자 URL 클릭이나 전화 연결을 자제하고 불법·악성 스팸 의심 문자는 즉시 신고할 것을 요청했다. 대량 문자 발송 사업자에게는 문자 발송 시스템의 보안 관리를 강화할 것을 권고했다.

조성은 방통위 사무처장은 뉴시스에 “최근 대량 문자 사업자 전송자격인증제 등 업계의 자율규제가 시작된 만큼, 사업자들도 불법 스팸 차단을 위해 실질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2022년 9월 23일 검찰이 압수수색 중인 정부과천청사 방송통신위원회(방통위) 건물에 직원들이 오가고 있다.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연합뉴스

스타를 위해 투표하세요! 스타의 이름으로 기부됩니다.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