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청년들 제발 결혼하라며 ‘박물관·미술관’ 공짜로 개방해 결혼식 열어주는 정부

59

정부, 국립박물관, 국립미술관 등 48개 국·공립시설 공공 예식장으로 추가 개방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정부가 결혼을 앞둔 예비부부들을 위해 국립박물관, 국립미술관 등 국립시설 48곳을 공공 예식장으로 추가 개방한다.

지난 26일 정부는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공공시설 추가 개방을 통한 청년 맞춤형 예식 공간 제공방안’을 발표했다.

이는 지난 3월 발표된 ‘청년친화 서비스 발전 방안’의 후속 조치다.

이번에 추가 개방되는 국립시설은 국립중앙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 등 국립시설 5곳과 내장산국립공원 생태공원, 덕유산 국립공원 잔디광장 등 국립공원 야외공관 10곳, 세종 호수공원 등 공공시설 33곳 등 총 48곳이다.

추가로 개방된 시설까지 합해 총 139개 공공시설에서 결혼식 진행이 가능할 전망이다.

수용 인원은 장소별로 50~400명 수준이며, 사용료는 시설 면적과 장비 등을 종합 고려해 무료에서 최대 56만 원까지로 책정됐다.

그동안 일부 공공시설이 예식 공간으로 개방됐으나, 접근성이 낮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번에 개방하는 시설 가운데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민속박물관, 국립중앙도서관은 접근성이 좋은 서울 시내에 위치해 있다.

이곳에서는 내년 3월 이후부터 무료 또는 5~10만 원에 결혼식을 올릴 수 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사진 = 인사이트

정부는 이와 함께 국공립시설을 예식 공간으로 사용할 경우 사용료를 감면할 수 있도록 법적 근거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 일부 예식장은 대관료만 1,000만 원 안팎이고, 1인당 식대도 10만 원 가까이 되는 경우가 많기에 정부가 개방한 장소들은 결혼식 비용 부담을 줄여줄 대안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전국 공공 예식장 정보 검색과 예약은 오는 7월 1일부터 ‘공유누리’ 홈페이지에서 할 수 있다.

시설별 이용 금액, 수용 가능 인원, 피로연 가능 여부 등의 정보를 조회한 후 원하는 장소와 대관 일자를 선택해 예약하기만 하면 된다.

정부는 “2027년까지 200개소 이상의 공공시설을 예식 공간으로 개방할 것”이라고 밝혔다.

실시간 인기기사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