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인은 스트레스 등의 원인으로 정신 질환에 걸리기 쉽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국민 4분의 1이 정신 질환을 한 번은 경험한다는 통계가 나올 정도다. 오는 10일 ‘세계 정신건강의 날’을 앞둔 지금, 가장 흔한 정신 질환인 우울장애와 불안장애에 대해 알아보자.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최근 자료에 따르면, 정신 질환의 1년 유병률은 8.5%이고, 평생 유병률은 27.8%에 달하고 있다. 이는 국민 4명 중 1명 이상이 평생 한 번 이상 정신 질환을 경험한다는 의미다.
우울장애는 지속적인 우울감과 의욕 저하를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반면, 불안장애는 병적인 불안과 공포로 인해 일상생활이 어려워지는 질환이다.
누구나 일시적으로 우울감이나 불안을 느낄 수 있지만, 이러한 감정이 2주 이상 지속되면 전문가의 상담이 필요하다. 개인적인 노력으로 감정이 회복되지 않는 상태라면 특히 주의가 필요하다.
우울장애와 불안장애는 본인이 스스로 문제를 인식하고 진료실을 찾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자신이 우울증이나 불안장애를 겪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우울증을 겪고 있지만 우울한 감정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에는 생활 패턴이나 생리 현상의 변화로 증상이 나타난다.
특히 주목할 만한 변화는 수면 패턴이다. 평소 잠을 잘 자던 사람이 불면증을 겪거나, 반대로 무기력해져 수면시간이 과도하게 늘어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소화기계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소화능력 저하를 호소하는 환자가 많고, 배변 패턴이 바뀌기도 한다. 업무나 학업 수행 능력이 떨어지는 경우도 있으며, 이는 제3자의 시선과 판단이 필요한 부분이다.
사람들이 정신과 진료를 기피하는 이유 중 하나는 약물 부작용이나 내성에 대한 우려다. 우울장애와 불안장애에 처방되는 대표적인 약물은 SSRI(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와 벤조디아제핀 계열 약물이다.
하지만 SSRI는 2세대 항우울제로, 부작용이나 내성 위험이 거의 없다. 벤조디아제핀은 신경안정제로, 장기간 복용 시 의존성이 생길 수 있지만, 실제로 그 정도로 처방되지 않는다. 따라서 부작용이나 내성 우려 때문에 진료를 기피해서는 안 된다.
항우울제와 항불안제가 함께 처방되는 이유는 항불안제가 효과를 나타내는 시간이 짧아 급한 불을 끄는 역할을 하고, 이후 항우울제로 안정화하기 위함이다. 또한, 불안과 우울 증상을 함께 가진 경우가 많기 때문이기도 하다.
SSRI는 일반적으로 4~6주 정도 복용했을 때 치료 효과가 나타난다. 그러나 증상이 나아지기 시작하면 임의로 투약을 중단하는 환자들이 많다.
전문가들은 운동과 다이어트에서도 근육량 증가, 심폐 기능 개선, 체중 감소 등 눈에 띄는 변화뿐 아니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듯, 정신 질환 치료 역시 유지가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또한, 임의로 투약을 중단하기보다는 꾸준한 치료로 증상이 없는 기간이 6개월 정도 유지될 때 주치의와 논의 후 투여 용량을 줄여가는 것을 권장한다. 이후 경과를 관찰하고 궁극적으로 약물 투약을 중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건물 사고 싶다“ 나폴리 맛피아, 3억 받을까… 힌트는 ‘여기’에 있다
- “하이퍼 러시 1.027 출시 기념” 프로-스펙스, 러너들을 위한 팝업스토어 오픈
- 서비스 시작 7년만에… 이 여행앱 가입자수 1000만명 돌파
- ‘카카오페이 퀴즈타임 10월 8일’ 정답
- 캐시닥·타임스프레드·지니어트 용돈퀴즈 문제+정답 (10월 8일 오늘의퀴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