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도 안 팔리고 “사람도 안 와”… ‘텅텅’ 비어버린 ‘도시’, 대체 어디길래?

51
거래 ‘반토막’, 미분양 ‘악성화’
지방 미분양, 12년 만에 최다
정부, 해법 찾을 수 있을까
도시
아파트 미분양 / 출처 = 뉴스1

“거래 자체가 실종됐다. 씨가 말랐다.”

부동산 시장에서 들려오는 절박한 목소리다. 아파트 매매 거래가 극도로 위축되면서 미분양 사태가 12년 만에 최악을 기록했다.

특히 지방에서는 준공 후에도 팔리지 않는 ‘악성 미분양’이 급증하며 건설업계와 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거래 절벽, 하락 거래가 절반

도시
아파트 미분양 / 출처 = 연합뉴스

지난해 12월부터 본격화된 거래 위축은 1월 들어 더욱 심화됐다. ‘제2도시’ 부산의 경우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1,000건을 밑돌며, 외환위기 이후 최악의 수준을 기록했다.

부동산서베이에 따르면 지난달 부산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998건으로 집계됐다. 당월 신고 비중을 고려하면 최종적으로 1,200건 안팎이 될 가능성이 높지만, 이는 탄핵 정국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더 심각한 문제는 거래된 매물의 절반 가까이가 ‘하락 거래’였다는 점이다. 직방에 따르면 1월 전국 아파트 거래 중 44.9%가 직전 거래가보다 낮은 가격에 팔렸다.

부산의 경우 이 비율이 47.1%에 달해 전국에서 세 번째로 높았다.

연제구의 한 공인중개사는 “매수자들이 더 떨어질 거라 보고 아예 시장에서 사라졌다. 지금은 문의 전화조차 거의 오지 않는다”며 시장의 심각성을 전했다.

12년 만의 최악… 지방 미분양, 심각한 수준

도시
아파트 미분양 / 출처 = 연합뉴스

거래가 줄면서 미분양 사태도 악화하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전국 미분양 아파트는 7만 173가구로, 2012년 말 이후 가장 많았다.

특히 문제는 ‘준공 후 미분양’이다. 공사가 끝났는데도 팔리지 않는 아파트는 2만 1,480가구로, 11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분양업계 관계자는 “지금 같은 분위기에서 무리하게 분양을 강행했다간 미달 사태가 불 보듯 뻔하다. 하지만 분양을 미루기엔 공사비와 금융비용 부담이 커진다”며 난처한 상황을 토로했다.

정부, 지방 부동산 시장 살릴 카드 있나

도시
아파트 미분양 / 출처 = 연합뉴스

정부도 상황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대책 마련에 나섰다. 오는 19일 기획재정부·국토교통부·금융위원회가 합동으로 건설시장 안정 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정부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을 매입하는 경우 추가적인 세제 혜택을 줄지 검토 중이다.

현재도 1주택자가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을 사면 양도세와 종부세에서 1주택자로 간주하는 혜택이 있지만, 시장에서는 효과가 미미하다는 지적이 많다.

건설업계는 보다 적극적인 지원책을 요구하고 있다. 취득세 중과 배제, 양도세 감면 확대 등으로 수요를 끌어올려야 한다는 주장이다.

정부가 부동산 시장 정상화를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지만, 근본적인 경기 침체가 해소되지 않는 이상 효과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는 분석도 나온다.

실시간 인기기사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