뭐라는 거지?…’이 발음’ 안 들리면 당장 이비인후과 달려가세요

657
뭐라는 거지?…'이 발음' 안 들리면 당장 이비인후과 달려가세요

“스·즈·츠·프·흐”

이 음절이 고음일 때 들리지 않는다면 ‘노인성 난청’을 의심할 수 있다. 흔히 ‘가는 귀가 먹었다’고 말하는 증상이 바로 노인성 난청을 두고 하는 얘기다.

노인성 난청은 나이가 들면서 청력이 손실돼 잘 듣지 못하는 증상을 가리킨다. 만 75세 이상 노인의 셋 중 한 명이 청력을 잃는다. 만 40세 이후 청력이 떨어졌다면 나이가 들어 노인성 난청으로 이행할 가능성이 크다. 가천대 길병원 이비인후과 선우웅상 교수는 “중년 이후 청력에 문제가 생겼다면 노인성 난청이 의심되는 만큼 적극적으로 청력 재활에 나서야 한다”고 설명했다.

노인성 난청은 귀속의 신경 세포가 시간이 흘러 퇴행성 변화를 일으킨 게 주요 원인이다. 이들 신경 세포 역시 한 번 나빠지면 회복이 힘들다. 노인성 난청이 있는 사람은 처음에 ‘스·즈·츠·프·흐’와 같은 음절의 고음을 듣지 못한다. 증상이 심해지면 낮은 음도 들리지 않는다. 대화 시 말소리는 들리지만 뜻을 정확히 이해할 수 없는 것도 특징이다.

노인성 난청은 서서히 진행하는 탓에 청력이 나빠지고 있다는 사실을 대부분은 잘 알아채지 못한다. 따라서 이런 증상이 나타나면 이비인후과 전문의에게 진료받고 청력 검사를 받아보는 게 권장된다.

고령화 사회 속 국내 노인성 난청 환자는 급증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65세 이상의 노인난청 환자 비율은 2000년 11%에 불과했지만, 2020년에는 16.4%로 증가했고, 2025년에는 24.1%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선우웅상 교수는 “우리나라는 2026년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노인성 난청 환자 역시 급증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노인성 난청은 노인들의 다양한 심리·사회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어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시끄러운 환경은 노인성 난청을 가속한다. 어쩔 수 없이 이런 환경에 노출된다면 자주 휴식을 취하고, 귀 보호구를 착용해야 한다. 또 고령자라면 평소 청력 건강에 이상이 없어도 정기검진을 받아야 한다. 흡연도 노인성 난청 위험을 높이기 때문에 금연해야 한다.

노인성 난청은 제한된 사회적 관계 속에서 살아가는 어르신들의 소통을 방해해 사회적 고립을 재촉한다. 노인성 난청 환자는 말소리가 잘 들리지 않아 주변인과 대화가 단절되고 대인관계에서 자신감을 잃는다. 단순히 청력의 문제를 벗어나 이들의 사회적 고립을 가중한다. 실제로 노인성 난청 환자는 건강한 노인에 비해 우울증·인지장애·치매와 같은 질환에 취약하다.

노인성 난청으로 진단됐다면 보청기를 착용하거나, 수술을 통한 이식형 청각기기 등으로 청력 재활에 힘써야 한다. 최근 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형태와 특성을 가진 보청기가 개발돼 있다. 노인성 난청 환자의 난청 정도, 유형, 심리 상태, 사회활동 정도 등을 면밀하게 평가한 후 보청기 선택이 이뤄져야 한다. 보청기 등 청력 재활 기기를 착용한 후에도 적극적으로 재활해야 한다.

선우웅상 교수는 “고령자에게 난청은 단순한 청력의 문제가 아니라 노인들의 사회생활 위축으로 이어지고 이는 노쇠로도 연결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라며 “중년 이후 특별한 원인 없이 소리가 잘 들리지 않는다면 정밀 검진을 받고 조기 발견해 난청을 관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