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 고성능 잉크젯 프린트 헤드 개발…효율 ↑, 발열↓

232

연구팀, 압전 박막 사용으로 기술 구현

“오가노이드 분야서 활용 확대될 것”

바이오프린팅 응용을 위한 고성능 압전 물질 기반 프린트 헤드의 개략도.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압전물질을 활용해 기존보다 두께가 얇으면서도 높은 성능을 지닌 바이오잉크용 잉크젯 프린트 헤드를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이병철 KIST 바이오닉스연구센터 박사팀은 백승협 KIST 전자재료연구센터 박사팀, 김태근 고려대학교 교수팀과 공동으로 압전물질인 PMN-PZT를 활용해 효율은 높고, 발열은 낮은 바이오프린팅 기술을 구현했다.

연구팀은 해당 기술을 적용할 경우, 여러 위치에 바이오잉크를 높은 해상도로 동시에 토출할 수 있어 바이오프린팅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연구팀은 고성능의 PMN-PZT 박막을 사용해 다중 노즐을 가진 잉크젯 프린트 헤드를 개발했다. 이 기술은 300μm 간격으로 배치된 16개의 잉크 토출부를 각각 조절할 수 있어 기존 방식 대비 구동 효율을 16배 높였다. 이는 바이오프린팅의 생산성과 안정성을 높여 인공장기의 생산시간을 단출할 수 있다.

실험 결과, 연구팀은 바이오잉크인 하이드로젤을 기존 대비 2분의 1 수준인 직경 32μm 크기로 출력하는 데 성공했다. 프린트 출력 속도는 1.2 m/s로 기존 방식 대비 약 60배 빨라졌다.

또 발열 효과를 73.4% 줄여 출력 시 온도 상승을 3.2℃ 이내로 유지함으로써 안정적인 출력 환경을 확보했다. 이를 통해 고점도 물질의 정밀한 토출이 가능해졌으며 온도에 민감한 바이오잉크의 변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번에 개발된 PMN-PZT 기반 프린트 헤드는 열 안정성 문제로 바이오프린팅 기술의 적용이 어려웠던 인공장기 이식 및 약물 독성 평가 등 오가노이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동작 온도가 30도 이하로 유지돼 온도에 민감한 전자재료의 변성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프린팅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 의료 분야 외 전자부품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도 폭넓게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병철 박사는 “PMN-PZT 박막 소재를 사용한 새로운 프린트 헤드는 고해상도 3D 오가노이드 장기 모델 제작에 대한 가능성을 높였다”며 “젤라틴 등 다양한 바이오잉크를 시도해 실제 이식 치료 및 독성 평가에 적용이 가능한 장기를 만들 수 있는 3차원 바이오프린터를 상용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