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제2차 농산물 수급조절위원회 개최
농산물 위기단계별 기준가격 개정안 심의

농림축산식품부는 21일 오후 서울 aT센터에서 김관수 서울대학교 교수와 김종구 농식품부 식량정책실장 공동 주재로 2025년 제2차 농산물 수급조절위원회를 개최했다.
농산 물수급조절위원회는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8조에 따른 농식품부장관의 자문기구로서, 생산자, 소비자 등 이해관계자가 함께 농산물 수급정책을 논의하기 위해 2013년부터 운영되고 있다.
이번 회의에서는 농산물 수급관리 지침(가이드라인) 개정안에 대한 심의와 함께 주요 농산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농식품부에서 마련한 수급 및 가격안정 대책을 보고하기 위해 마련됐다.
농식품부는 가이드라인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 매년 평년가격, 경영비, 출하비 등을 토대로 품목별 위기단계별 기준가격을 갱신하고 있다.
또 이번 회의에서는 농식품부가 지난 12월에 마련한 기후변화 대응 원예농산물 생산 및 수급안정방안을 보고했다. 위원들은 데이터 기반 생산관리 및 관측 강화, 신규 재배적지 확보 등 생산 및 공급관리를 강화하고, 기후변화에 대한 현장 적응력 강화 및 필요성에 공감했다.
농식품부는 이번 수급조절위원회의의 자문 의견을 참고해 ‘농산물 수급관리 지침(가이드라인)’을 개정하고, 기후변화 대응 원예농산물 생산 및 수급안정방안 등을 보완·반영해 나갈 계획이다.
김종구 식량정책실장은 “생산자와 소비자 등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토대로 합리적 수급관리 정책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며 “농산물 수급안정을 위해 수급조절위원회의 기능을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중도보수 선언’ 이재명에 민주당 발칵…노선 논쟁 후폭풍 여전
- [오늘 날씨] ‘칼바람’ 겨울 추위 계속·아침 최저 -12도…건조한 입술 고민이라면
- 한덕수 총리, 윤 대통령 탄핵심판 전 돌아올까 [정국 기상대]
- ‘AI 국가대표’ 뽑아 한국형 챗GPT 만든다…최상목 대행 “정부가 전폭 지원”
- 美 특사 만난 젤렌스키, 공동 기자회견 취소…”미국 요청”
- 산단공, ‘공공데이터 제공 및 데이터기반행정 평가’ 최고 등급 달성
- 현대해상, 작년 순익 1조307억…전년比 33.4%↑
- 삼표그룹, 안전 보건 경영 선포…‘중대재해 제로’ 달성
- UPA, 美 LACP 주관 지속가능경영보고서 ‘금상’ 수상
- KTC, 웨어러블 로봇 실증센터 구축 다자간 업무협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