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TRA, ‘美 전력망 산업 동향 및 우리 기업 진출전략’ 보고서 발간
전력 수요 폭증에 인프라 확대 위한 투자 증가 전망
기업 진출단계별 전략 활용…장기적 준비 필요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의 증가와 노후화된 전력인프라 수요 따른 미국의 투자 확대를 K_그리드 도약의 기회로 삼아야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는 11일 미국 전력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기업을 위해 ‘미국 전력망 산업 동향 및 우리 기업 진출전략’ 보고서를 발간했다.
KOTRA는 미국에서는 최근 ‘전기 먹는 하마’라고도 불리는 AI 데이터센터의 증가와 산업 전기화로 전력 소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반면 대다수의 전력인프라가 노후화된 데다가 동부·서부·텍사스 권역으로 단절된 미국 전력망 특성상 전력 공급이 효율적이지 못해 전력 수요를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미국에서는 민관이 모두 전력인프라 개선을 위해 막대한 자금을 투자하며 거대한 시장이 열리고 있다.
이에 따라 보고서에는 ▲미국 전력망 산업 구조와 최근 동향 ▲전력 기자재 조달 체계 ▲주요 발주처 정보 ▲인증 정보 ▲현지에 성공적으로 진출한 기업 사례와 진출전략이 담겼다.
미국 에너지부는 전력망 강화와 안정성 향상을 위해 약 130억 달러 규모의 ‘전력망 복원력 혁신 프로그램(GRIP)’과 ‘송전 원활화 프로그램(TFP)’을 추진 중이다.
미국 내 송전선의 70%가 25년 이상, 대형 변압기는 평균 40년 이상 경과됐다는 점을 감안하면 두 프로그램을 통해 전반적인 설비 개선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민간 부문에서도 송배전 인프라 관련 자본 투자는 두 자릿수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변압기, 고압 전선, 케이블 등 전력 기자재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높은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는 우리 기업이 미국 시장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미국산 우선 정책 등이 적용되는 연방 부문에 비해 비교적 제약이 적고 미국 전력 공급의 70%를 차지하는 민간 분야에 집중해 단계별 진출전략을 제시했다.
초기 단계에서는 ▲전시 참가 ▲시장조사 ▲인증 구비 등을 통해 산업 동향 파악과 기술 홍보에 초점을 맞추고 진출 성숙 단계에서는 ▲현지생산 ▲A/S 지원체계 구축 등으로 현지 대응력을 강화한다는 것이 골자다. 특히 민관협력을 통한 ‘원팀 코리아’ 동반진출을 통해 패키지형 진출이 가능하다는 점에도 주목했다.
강은호 KOTRA 달라스무역관장은 “K-그리드 수출지원을 위해 달라스무역관이 KOTRA 1호 거점으로 올해부터 밀착 지원활동을 시작한 만큼 우리 K-그리드 기업의 성공적인 미국시장 진출을 위해 최선을 다할 예정”이라며 “이번 조사 보고서를 시작으로 오는 3월 미국 최대 전력 송배전 산업 전시회인 ‘디스트리뷰테크 인터네셔널 2025’ 연계 수출상담회와 6월 ‘북미 전력기자재 사절단’ 등 우리 기업의 진출을 위한 사업을 연이어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KOTRA의 ‘미국 전력망 산업 동향 및 우리 기업 진출전략’ 보고서는 해외경제정보드림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尹 석방 환영했지만…’딜레마’ 빠진 국민의힘 지도부
- ‘마은혁 임명’ ‘명태균 거부권’…최상목 대행도 운명의 일주일 [정국 기상대]
- 수원 아파트서 40대 남성 투신 사망…집엔 아내·자녀 숨진 채 발견
- 활동반경 좁아진 이재명…비명계 통합 행보 숨고르기에 여론전만
- 남자들 강물에 던져 죽이고, 女관광객 집단성폭행…악명높은 그 나라
- 삼성액티브운용, KoAct 글로벌양자컴퓨팅 액티브 상장
- 전기안전공사, 2025 전기안전관리 유공자 포상 공모…내달 16일까지 접수
- 한화오션, 주한 태국 대사와 ‘해양안보 협력’ 논의
- 중부발전, ‘K-그리드 수출 얼라이언스·KOMIPO-FACTORY’ 개소식 개최
- 동남권 중견기업 현장애로 청취…권역별 현장간담회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