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여름만 되면 어마어마한 모기 태어난다는 최악의 지역

5430

여름의 가장 큰 불청객은 모기입니다. 모기 윙윙거리는 소리 때문에 잠에서 깨어난 적이 한 번쯤은 있을 듯한데요. 모기에 한 번 물리면 간지러워서 다시 잠에 들지도 못하죠. 모기는 인간의 피를 빨아먹고 그 피를 다른 사람에게 옮기기 때문에 말라리아, 황열, 뎅기열 등 각종 바이러스의 주요 전파원이기도 합니다.

세계 최대 모기 생산 지역으로 알려진 ‘툰드라’에서는 어마어마한 양의 모기가 태어나는데요. 툰드라에는 왜 수많은 모기가 태어나는 것인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 nationalgeographic

툰드라는 ‘나무가 없는 언덕’이라는 뜻으로 북극해 연안의 동토지대로서 러시아 시베리아 등 고위도 한대 지역에 있는 넓은 벌판입니다. 남반구에서도 북쪽 툰드라와 비슷한 초원을 ‘남극 툰드라’라고 부르는데요. 겨울을 대표하는 흰 눈과 봄, 여름을 나타내는 푸른 이끼 등을 한곳에서 볼 수 있는 신비로운 자연경관을 갖춘 곳입니다.

툰드라는 일 년 중 여름을 제외한 250여 일이 눈과 얼음으로 덮여있습니다. 낮은 기온 탓에 나무를 비롯한 식물이 자라지 못하는데요. 고위도에 위치하기 때문에 태양이 지면에 닿는 시간도 다른 위도에 비해 비교적 짧습니다. 특히 일 년의 절반인 겨울철에는 해가 뜨지 않고 밤이 계속되는 ‘극야 현상’이 나타나는 곳이죠.

출처 : worldatlas

하지만 툰드라에도 여름은 찾아옵니다. 30도에 육박하는 폭염은 아니더라도 평균 기온이 0도 이상으로 올라가는 여름이 2~3개월 동안 존재하는데요. 이 시기에는 한밤중에도 해가 떠 있는 ‘백야 현상’이 지속되며 얼었던 땅이 녹아 물웅덩이가 생깁니다. 물웅덩이는 생명체가 성장하는 데 중요한 여건을 제공해 주는 곳이죠.

하지만 모기도 함께 성장한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인데요. 보통 모기는 추운 계절이면 다 죽어버리기 마련이지만 극지대인 툰드라에서는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6월과 7월은 툰드라에서 모기가 가장 많이 번식하는 시기이죠.

출처 : adn

바로 영하의 날씨에도 살 수 있도록 적응한 모기의 놀라운 진화력 때문인데요. 모기는 겨울철 툰드라 땅 밑에서 알이나 유충으로 얼어있다가 여름이 되는 순간 녹아서 번식을 시작합니다.

녹아서 만들어진 물웅덩이는 모기에게 그야말로 천국인데요. 짧은 3개월의 여름 동안 모기는 무한 생성에 생성을 반복하게 됩니다.

그린란드, 아이슬란드, 캐나다 북부, 시베리아, 노르웨이, 핀란드 북부 등 전 지대 툰드라에 거쳐 분포해 있는데요. 툰드라에는 모기의 천적이 없으므로 그야말로 모기의 세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수많은 모기떼를 직접 목격한 사람들은 “자욱한 연기” 같다는 평을 내놓았죠.

출처 : downtoearth

모기들은 거대한 순록 무리의 피를 빨아먹고 삽니다. 병약한 순록의 경우 피가 너무 많이 빨리면 죽을 정도라고 하는데요. 또한 모기는 순록의 두꺼운 가죽을 뚫기 위해 굉장히 강하고 크게 성장합니다. 사람의 청바지도 뚫을 수 있는 수준인데요. 마치 산모기가 일반 도시 모기보다 몇 배는 강력한 것과 같은 현상이죠.

원래 모기는 영양분을 보충하기 위한 산란기의 암컷 모기만 피를 빨아 먹습니다. 하지만 툰드라 모기는 수컷도 피를 빨아먹도록 진화되었는데요. 본래 수컷 모기는 식물의 당즙을 빨아 먹고 사는데, 툰드라에는 식물이 없으니, 수컷도 동물의 피를 빨도록 업그레이드된 것이죠.

출처 : theconversation

해마다 날씨에 따라 모기의 수가 달라집니다. 툰드라 모기는 갈수록 더 극성을 부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구온난화로 인해 툰드라 역시 한랭 지대에서 고온 다습한 날씨로 변해가고 있기 때문인데요. 지난 2019년 ‘PLOS Neglected Tropical Diseases’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지구 온도가 상승할수록 모기와 관련된 질병에 더 많이 노출될 수 있죠.

최근 지구 표면온도는 10개월째 최고 기온을 경신하고 있는데요. 이상 고온 현상은 세계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즉 모기의 수도 더욱 늘어날 수 있다는 뜻이죠.

학자들은 모기가 지구에서 사라졌을 때 어떻게 될 것인가에 대한 가설을 세웠습니다. 전문가들의 의견은 엇갈렸는데요. 노스캐롤라이나주 환경자원부 브루스 해리슨은 “북극의 모기가 사라지면 새의 먹이도 사라지기 때문에 툰드라 지역에 둥지를 트는 철새 개체 수가 50% 감소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한편 다른 학자들은 툰드라 지역 새를 해부했을 때 모기 섭취의 흔적이 그다지 많이 발견되지 않고 있다는 점을 들어 반박했습니다. 순록은 모기떼를 피해 바람을 거슬러 이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모기가 없어지면 순록의 이동 경로가 바뀌고 이들이 밟고 지나가는 곳의 토양과 식생에 막대한 변화가 찾아올 것이라고 예견했습니다.

+1
2
+1
0
+1
0
+1
0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