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오릉 입구 / 사진=직접촬영](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3-0442/image-862c86c5-0a6e-4aef-956a-563b26c3dfe1.jpeg)
서오릉은 조선 왕실의 역사와 문화를 간직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입니다. “서쪽의 다섯 능”이라는 의미를 지닌 이곳은 동구릉 다음으로 규모가 큰 조선 왕실의 왕릉군으로, 역사 애호가와 관광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기는 특별한 장소라고할 수 있죠.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에 위치한 서오릉은 다섯 개의 주요 능과 여러 왕실 묘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곳은 1457년부터 조성되기 시작하여 300년에 걸친 조선 왕조의 역사를 품고 있으며, 2009년 6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그 가치를 국제적으로 인정받았습니다.
※서오릉
▶주소 : 경기 고양시 덕양구 서오릉로 334-32
▶운영시간 : 7-18시 | 월요일 휴무
▶입장료 : 성인·외국인-1,000원 / 24세 이하·경로·유공자-무료
명릉
![명릉 / 사진=직접촬영](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3-0442/image-ffba4b6e-67da-4e43-ade3-2303136789d9.jpeg)
▶조선 제19대 왕 숙종과 두 번째 왕비 인현왕후 민씨, 세 번째 왕비 인원왕후
서오릉 주차장에서 가장 빠르게 만나볼 수 있는 명릉은 동원이강릉(同原異岡陵) 형태로, 하나의 정자각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언덕에 쌍릉과 단릉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오른쪽 언덕에는 숙종과 인현왕후의 쌍릉이, 왼쪽 언덕에는 인원왕후의 단릉이 위치해 있습니다.
능역 내에 하나의 정자각을 공유하며, 석물의 규모를 줄여 경비를 절감한 것이 특징인데요. 추가로, 명릉의 석물들은 당시 사람들의 실제 크기와 비슷하게 제작되어 사실적으로 묘사되었죠. 이는 당대의 실사구시(사실에 토대를 두어 진리를 탐구하는 일) 철학을 반영한 것으로 보입니다.
익릉
![익릉 / 사진=직접촬영](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3-0442/image-9fc1d902-a7ec-46eb-a0e3-c77ac6aa3ae8.jpeg)
▶주소 : 숙종의 첫 번째 왕비인 인경왕후
명릉에서 조금만 걸어 올라가면 익릉이 보입니다. 익릉은 숙종의 첫 번째 왕비인 인경왕후의 릉으로 단릉 형태로 조성되었습니다. 정자각에 익랑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익릉은 숙종 때 왕릉의 석물 등을 간소화하라는 지침이 만들어지기 이전에 세워져서 그런지, 능의 석물들이 숙종의 왕릉인 명릉보다 더욱 장대합니다. 특히, 무인석과 문인석의 크기가 실제 사람보다 훨씬 크고, 장명등과 혼유석도 크고 장대하게 조성되었습니다.
경릉
![경릉 / 사진=한국관광공사 포토코리아@이동욱](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3-0442/image-9907f01a-2bba-4c42-a233-496efabd2033.jpeg)
▶세조의 맏아들인 의경세자(후에 덕종으로 추존됨)와 그의 비 소혜왕후
경릉은 1457년에 의경세자의 묘로 처음 조성되었으며, 이는 서오릉에서 가장 먼저 만들어진 능입니다. 의경세자가 덕종으로 추존된 후 경릉으로 명명되었고, 이후 소혜왕후도 함께 안장되었습니다. 경릉은 덕종과 소혜왕후가 함께 안장된 쌍릉 형태로 조성되었으며 조선 초기 왕릉의 특징을 잘 보여줍니다.
또한 경릉은 300년에 걸친 조선 왕조의 역사 중 초기의 모습을 대표하는 중요한 유적중 하나이며, 서오릉에서 가장 오래된 능이라고도 할 수 있답니다.
홍릉
![홍릉 / 사진=공공누리@유네스코한국위원회](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3-0442/image-2406e4eb-0cd4-42ac-9a9c-007f1e5cfa5c.jpeg)
▶조선의 제21대왕 영조의 왕비 정성황후
조선 제21대 왕 영조의 첫 번째 왕비 정성왕후 서씨의 능, 홍릉입니다. 단릉의 형태로 조성되었으며, 영조는 정성왕후 옆에 자신의 능을 조성하려고 계획했으나, 사후 그의 능은 동구릉 내 원릉으로 조성되면서 정성왕후 옆 자리는 비어 있게 되었습니다.
홍릉은 석물 배치가 간소하면서도 장엄한 조선 후기 왕릉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데요. 석물에는 문인석, 무인석, 장명등 등이 있으며, 오른쪽 비워진 자리에 십자 모양을 새겨 영조의 능 자리로 표기했습니다.
창릉
![창릉 / 사진=공공누리@유네스코한국위원회](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3-0442/image-f37e5317-5986-4104-af80-612ad8f6a0c1.jpeg)
▶조선 제8대 왕 예종과 그의 두 번째 왕비 안순왕후 한씨
조선 제8대 왕 예종과 그의 두 번째 왕비 인순왕후 한씨가 안치된 창릉은 동원이강릉(同原異岡陵) 형태로, 같은 능역에 하나의 정자각을 두고 서로 다른 언덕에 능침을 조성했는데요.
정자각 앞에서 바라보았을 때 왼쪽 언덕(서쪽)이 예종, 오른쪽 언덕(동쪽)이 안순왕후의 능입니다. 창릉은 서오릉에서 ‘왕릉’으로 조성된 최초의 릉이며, 서오릉 내에서 가장 먼 곳에 있기 때문에 가장 마지막에 둘러보게될 릉이기도 합니다.
서어나무길
![소나무길 / 사진=직접촬영](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3-0442/image-6b2fbd94-d602-421a-98f7-8d1ea835c7cc.jpeg)
익릉에서 창릉까지 가는 서어나무길은 서오릉의 아름다운 숲길 중 하나로, 서어나무가 군락을 이루는 트레킹 코스입니다. 서어나무길 아래로는 ‘소나무길’도 있어 다양한 나무가 방문객들을 맞이하고 있죠.
울창한 숲이 우거져 있어 걷는 내내 상쾌한 기분을 만끽할 수 있어서, 익릉-서어나무길-창릉-홍릉-경릉-익릉-명릉 순으로 관람하는 것도 좋은 선택입니다.
서오릉 역사문화관
![서오릉 역사문화관 내부 / 사진=직접촬영](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3-0442/image-afe2b7d3-9d51-4704-907b-d137cbe5e26e.jpeg)
서오릉 입구 우측에는 서오릉 역사문화관이 배치되어 있는데요. 역사문화관 내에는 ‘서오릉 알아보기’, ‘왕의 능행’, ‘서오릉 숲’, ‘세계유산 조선왕릉 알아보기’라는 4가지 주제로 구성되어 서오릉의 역사와 문화를 제대로 알아볼 수 있습니다.
특히 조선시대 능행에 대한 새로운 연구 성과와 왕릉의 숲을 주제로 한 전시가 추가되었으며, 영조가 서오릉게 가장 많이 행차한 왕이라는 사실과 관련된 영상도 함께 감상할 수 있어요.
이 외에도 다양한 전시와 체험이 준비되었으니 서오릉을 둘러보기 전에 간단한 조선의 역사를 알고 간다면 더욱 알찬 서오릉 탐방이 될 수 있겠죠?
- “비행기 좌석 고민 끝!” 후회 없는 비행기 자리 선택 가이드 2025ver.
-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전 꼭 확인해야 할 ‘필수’ 주의사항 2025 Ver. (+공항 보조배터리 용량)
- ‘서울 지하철 여행’ 2호선 타고 서울 명소 탐방하기
- “족욕카페에서 피로 풀어 볼까?” 이색데이트로 추천 하는 힐링 카페 3
- “달빛이 머무는 월류봉” 운치 있는 자연, 충북 영동 가볼 만한 곳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