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뻔한 전주 여행 말고, 조금 더 색다르게!” 체험과 역사가 깃든 전주 박물관 4(+모두무료

14
[한지 장인의 한지 만들기] 전주 박물관 4곳 추천 / 사진=비짓전주
[한지 장인의 한지 만들기] 전주 박물관 4곳 추천 / 사진=비짓전주

전주 여행, 한옥마을과 비빔밥만으로는 뭔가 부족하다고 느끼셨나요? 역사와 문화를 체험하며 색다른 추억을 만들고 싶다면 이번 글을 주목하는게 좋습니다.

전주의 대표 명소인 전주한옥마을의 거리에는 크고 작은 박물관과 전시관을 비롯해 전주 시내에는 다양한 박물관들이 있는데요.

전시뿐만 아니라 전주의 역사와 한지, 전통술 등 구석구석 숨어있는 공간에서 전주의 문화를 색다르게 즐길 수 있는 전주 박물관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국립전주박물관

국립전주박물관 / 사진=비짓전주
국립전주박물관 / 사진=비짓전주

▶주소 : 전주시 완산구 쑥고개로 249

▶운영시간 : 10-18시

▶입장료 : 무료

국립전주박물관은 1990년에 문을 열어 전북 지역에서 발굴된 고고 유물을 비롯해 역사 자료, 서화, 도자기, 공예 미술품 등 4만여 점의 문화재를 소장하고 있는 전북의 대표 문화 공간입니다.

그중 엄선된 문화재는 상설 전시실과 야외 정원에서 만나볼 수 있으며, 학술 조사와 연구를 바탕으로 기획된 특별전도 꾸준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단순한 관람 공간을 넘어 휴식과 문화 체험의 장소로 거듭난 점도 주목할 만합니다.

특히 야외 정원은 한국 전통 조경을 반영한 산책로로 조성되어 있어 사계절 내내 다양한 화초와 나무를 감상하며 여유롭게 산책할 수 있답니다. 전주의 다양한 고고 유물과 미술품도 보고 산책하며 힐링의 시간도 함께 즐겨보세요.

전주역사박물관

전주 역사박물관 내부 모형 / 사진=비짓전주
전주 역사박물관 내부 모형 / 사진=비짓전주

▶주소 : 전주시 완산구 쑥고개로 259

▶운영시간 : 10-18시 | 월요일 휴관

▶입장료 : 무료

규모는 작지만 박물관 전체가 오로지 ‘전주의 역사’에 집중해서 꾸며진 곳, 바로 전주역사박물관인데요. 구석기 문화부터 후백제의 왕도요, 그리고 조선왕조의 발상지에 위치한 전주역사박물관은 전주의 역사와 문화유산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죠.

전주의 역사와 문화를 통해 지역의 정체성을 담은 상설전시와 다양한 주제의 기획전시를 운영하고 있는데요. 관람객들이 우리 전통 문화를 배우고 즐길 수 있도록 전문적인 교육 프로그램과 다채로운 문화행사도 개최하고 있으니 홈페이지를 참고하여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해 참여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전주전통술박물관

전통술 제조 체험 / 사진=비짓전주
전통술 제조 체험 / 사진=비짓전주

▶주소 : 전주시 완산구 한지길74

▶운영시간 : 10-18시 | 월요일 휴관

▶입장료 : 무료

전주전통술박물관은 2002년, 전주 한옥마을 한복판에 문을 열고, 끊어진 가양주 문화의 명맥을 이어가고 있는데요. 가양주라면, 집집마다 술을 빚어서 제사에 쓰거나 손님에게 대접했던, 그야말로 ‘술의 품격’을 자랑하는 전통 술이죠. 그런데, 아쉽게도 일제강점기의 주세법으로 이 멋진 문화는 끊기고 말았답니다.

하지만 걱정 마세요! 전주전통술박물관이 그 끊어진 가양주의 맥을 다시 이어가고 있습니다. 여기서 전통 술을 재현하고 체험할 수 있는데, 전통 가양주 강좌와 다양한 술 빚기 체험이 기다리고 있어요.

시민들뿐만 아니라 관광객들도 손쉽게 가양주를 배울 수 있답니다. 전주를 방문하면, 그냥 술만 마시는 게 아니라 전통 술의 역사와 품격까지 느낄 수 있는 멋진 기회가 될 거예요!

 전주한지박물관

전주 한지박물관 내부 / 사진=비짓전주
전주 한지박물관 내부 / 사진=비짓전주

▶주소 : 전주시 덕진구 팔복로 59 전주페이퍼

▶운영시간 : 9-17시 | 일,월요일 휴관

▶입장료 : 무료

한지는 그야말로 우리 삶에 항상 함께 해왔던 존재, 말 그대로 ‘우리 문화의 전수자’라고 할 수 있죠. 오랜 세월을 거쳐 우리 민족의 삶 속에서 호흡을 맞춰온 한지는 요람에서 무덤까지 늘 함께했답니다.

성인이 되어 혼례를 올릴 땐, 한지에 청혼서와 사주단자를 정성스럽게 써서 보냈고, 죽은 후에는 한지로 몸을 감싸고 지전으로 저승길을 떠났습니다. 제사를 지낼 때에도 한지에 지방과 축문을 써서 올렸죠. 그렇게 한지는 우리의 삶과 문화에 깊이 스며들어 있었습니다.

전주는 바로 이 한지의 고장이라할 수 있는데요. 이 전통 한지의 우수함과 한지에 담긴 이야기를 들여다보면, 그 깊은 의미와 예술성에 푹 빠질 수밖에 없는 그런 곳이랍니다. 실제 한지 만들기 체험도 가능한 체험형 박물관이니 관심 있다면 꼭 체험까지 함께해보세요! 체험까지 무료랍니다!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