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어코리아=유경훈 기자] 서울시가 20~23세(‘02년~05년생) 청년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를 위해 문화관람비 20만 원을 지원하는 ‘2025 서울청년문화패스’ 참여자를 모집한다.
이달 24일 모집을 시작해 3월 18일까지 신청을 받아 약 2만 7,000명을 선발할 예정이다.
‘서울청년문화패스’는 치열한 입시와 경제적 이유 등으로 문화예술을 누릴 기회가 부족했던 청년들에게 문화 향유 기회를 제공하고자 지난 2023년 전국 최초로 시작돼 2년 만에 ‘청년 문화권 보장’의 대표 사업으로 자리 잡았다.
서울연구원이 이달에 ‘2024 서울청년문화패스’ 이용자 1,000명을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용자의 93%가 ‘문화생활에 실질적 도움이 되었다’고 답했고, ‘사업 재신청 의사’도 96%에 달했다.
전반적으로 ‘서울청년문화패스’를 통해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과 삶의 질이 높아졌다는 답변이 주를 이뤘다.
‘서울청년문화패스’는 치열한 입시와 경제적 이유 등으로 문화예술을 누릴 기회가 부족했던 청년들에게 문화 향유 기회를 제공하고자 시작됐다.
올해 ‘서울청년문화패스’ 사업은 2002년~2005년에 태어난 서울 거주 청년 중 가구 중위소득이 150% 이하인 청년이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기존 수혜자도 재신청이 가능하나, 가구 중위소득 120% 이하로 기준이 강화되며 신규 신청자가 우선 선발된다. 조건이 동일한 경우 소득이 낮은 순으로 지원자를 선발한다.
특히 올해부터 ‘의무복무 제대군인’의 연령 가산제를 실시, 군 복무로 인해 문화예술을 누리기 어려웠던 청년들의 문화향유권까지 균형 있게 보장할 예정이다.
따라서 의무복무 제대군인에게 최대 3년까지 연령을 가산해 1999년생까지 참여 신청할 수 있다.
예를들어1년 이하 복무기간은 1세(2001년생), 1년~2년미만의 복무기간은 2세(2000년생), 2년~5년 미만의 복무기간은 3세(1999년생)를 가산해 추가 지원한다.
‘서울청년문화패스’ 사업 참여자로 선정된 청년은 연 20만 원의 문화관람비를 이용, ‘서울청년문화패스’ 누리집에서 연극·뮤지컬·클래식·국악·무용 등 다양한 공연과 전시를 예매하여 관람하면 된다.
단, 미사용 관람비는 올 연말 소멸된다. 선정 결과는 4월 중순 발표된다.
한편, ‘서울청년문화패스’ 참여 시 한국은행에서 추진하는 ‘디지털 바우처 쳥년 체험단’ 신청도 가능하다.
체험단에 선발되면 예금 토큰으로 서울청년문화패스를 비롯한 다양한 사용처에서 이용할 수 있다. 체험단은 5~6월시번운영 기간을 거쳐 약 500명 내에서 운영될 예정이다.
‘서울청년문화패스’의 신청 및 사업과 절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청년몽땅정보통’ 누리집에서 확인 가능하다.
마채숙 서울시 문화본부장은 “서울청년문화패스는 단순한 문화 지원을 넘어 청년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우리 문화예술계를 발전시키는 선순환을 만들어 내는 사업”이라며 “올해는 제대군인 연령가산제를 도입해 더 많은 청년이 문화예술을 누릴 수 있도록 했다. 앞으로도 청년들의 문화향유 기회를 확대하고 서울이 진정한 ‘글로벌 문화도시’로 거듭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서울시, 교통통합 브랜드 ‘GO SEOUL’ 런칭
- 숙박할인 받아 ‘광양매화축제’ 알차게 즐기세요! …3월 7일 팡파르
- 달랏 여행, 베트남의 유럽풍 도시에서 가볼 만한 곳은?
- 도쿄 핫플에 자리한 접근성 좋은 신상 호텔 3
- 울진 가볼만한곳, 가족과 함께 즐기는 최고의 여행 코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