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10대 중 4대 美에 팔렸는데…“트럼프 집권 시 우려”

127
ⓒ뉴시스

지난해 수출한 자동차 10대 중 4대가 미국에서 팔린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4년 간 전기차의 연평균 수출 증가율이 56%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자동차 업계의 대미 의존도가 높은 가운데 오는 11월 미 대선에서 트럼프가 재집권 시 현지 자국내 자동차 산업 보호가 강화되면서 우리 수출이 주춤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10일 산업연구원(Kiet)이 발표한 ‘미국 대선에 따른 한국 자동차 산업의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자동차 산업 대미 수출 비중은 42.9%를 차지했다. 특히 완성차의 미 의존도는 45.4%로 50%에 육박한다.

전기차 수출에서도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35.0%에 달한다. 우리 자동차기업의 국내와 해외에서 생산되는 물량 중 46.5%가 미국 시장에서 판매된다.

미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도 지난해 미 전기차 시장에서 우리 기업들이 차지한 시장 점유율은 8%에 달한다. 전기차 수출은 지난 2019~2023년 연평균 증가율은 56.2%에 달한다. 해당 기간 전기차 수출은 88% 증가했다.

이처럼 지난해 우리 자동차 산업의 미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와 관련 김경유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미 자동차시장의 상황 변화는 우리 자동차 산업이 미 시장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는 만큼 큰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며 “정치적 성향이나 대통령 특성에 따라 많은 변화가 있을 수 있다”고 언급했다.

산업연구원은 오는 11월에 치러질 미 대선에 주목했다.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이 재집권하면 현행 정책 기조가 유지되겠지만,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되면 보호주의 정책이 강화되면서 우리 기업에 불리하게 작용될 것으로 봤다.

바이든이 재집권하면 탈탄소화와 중국 견제를 위해 우방국과 다자간 협력을 강화하는 정책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트럼프는 화석연료 관련 투자를 늘리고 보호주의 정책 하에 수입품에 적용되는 보편적 관세 시스템이 적용될 것으로 봤다.

공급망에 있어 양자 모두 중국을 배제하지만, 바이든은 동맹과 협력을 기반으로 세부적으로 추진하는 만큼 전기차 공급망에서 우리 기업의 역할이 강화될 것으로 평가했다. 반면 트럼프는 관세 등 수단에서 자국 내 조달을 강화하는데 주안점을 둘 것으로 봤다. 우리 기업들은 미 현지 생산으로 공급망을 조정하는 등 전략을 수정할 것으로 예상했다.

김 연구위원은 “이번 미 대선 국면에서 친환경 정책의 견해에 따라 전기차 등 어느 한쪽으로 전략을 집중하는 것은 위험이 매우 클 수 있다”며 “친환경 자동차 전략에서 다양한 선택이 가능한 탄소중립 기술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특성상 특정 기술 의존도가 높은 것은 다양한 국가의 환경정책 대응에 어려움이 있다”며 “전기차 외에 하이브리드차와 수소전기차 등 다양한 탄소중립 기술경쟁력 확보를 통해 규제와 시장, 공급망 등 요인에 따라 변화되는 주도 기술 변화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세종=뉴시스]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