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유일 ‘홍릉 강소특구’, 바이오 창업부터 상장까지 지원”

21
홍릉강소특구사업단

▲임환 홍릉강소연구개발특구사업단장. 사진=김철훈 기자

“홍릉 강소특구는 지정된 지 3년여 만에 창업기업 75개, 투자유치 2067억원, 기업가치 2조9500억원 규모의 바이오 클러스터로 성장했습니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딥테크 산업에 필요한 연구인력과 자본력을 모두 갖춘 곳인만큼 세계적 바이오 클러스터로 성장하기 위해 정부·지방자치단체의 지원과 업계의 관심이 필요합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본원과 경희대학교·고려대학교 서울캠퍼스가 자리잡고 있는 서울 동대문구 일대를 지칭하는 홍릉. 세계 최고 바이오 클러스터로 불리는 미국 보스턴 바이오 클러스터와 국내에서 가장 비슷한 바이오 클러스터로 꼽히는 곳이다.

홍릉 바이오 클러스터의 핵심 운영기관인 홍릉강소연구개발특구사업단 임환 단장은 홍릉만이 가진 강점을 살려 보스턴 클러스터와 같은 세계적 바이오 클러스터를 키워야 우리나라의 바이오 강국 실현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과거 명성황후의 능(陵)이 있었던 홍릉은 1970년대 KIST, 카이스트(KAIST), 한국개발연구원(KDI) 등 우리나라 연구개발의 메카로 군림했으나, 2013년 연구기관 지방이전으로 공동화 위기를 맞았다.

이곳에 본원이 남은 KIST를 비롯해 경희대, 고려대 등 홍릉 일대 대학·연구기관장들은 홍릉의 재도약을 위해 2012년 민간 포럼인 \’홍릉포럼\’을 결성했고, 서울시는 2017년 홍릉일대에 바이오의료 벤처 육성 지원센터인 \’서울바이오허브\’를 개관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0년 홍릉일대를 서울 유일의 강소연구개발특구로 지정해 홍릉 바이오 클러스터의 제도적 기반을 완성했다.

“홍릉 일대는 박사급 7000여명, 대학생 12만여명을 비롯해 고려대학교안암병원, 경희의료원, 한국원자력의학원 등 풍부한 인프라를 보유한 준비된 클러스터입니다. 특히 바이오헬스케어 분야 딥사이언스(딥테크) 창업을 비롯해 병원과 연계한 중개연구, 임상기반 혁신창업의 최적지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홍릉 강소연구개발특구는 기술핵심기관인 KIST·경희대·고려대와 배후공간인 서울바이오허브 등을 중심으로 20㎢ 이내 지역을 지칭하는 공간규정으로, 이곳에 들어서는 연구소기업·벤처 등은 법인세 감면 등 다양한 특례혜택을 받을 수 있다.

특히, 홍릉강소특구는 대학·연구기관·병원이 밀집한 특성에 걸맞게 의사 창업과 임상기반 딥테크 창업이 활발하다. 보스턴 바이오클러스터와 유사한 모습이자 국내 다른 바이오클러스터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차별점이다.

KIST에서 기술사업전략본부장을 맡고 있는 임환 단장은 기존에도 홍릉 일대에 바이오벤처 창업이 이뤄져 왔지만 홍릉강소특구가 지정되고 사업단이 출범한 이후 체계적인 육성 지원을 통해 창업기업의 성장속도가 더 빨라졌다고 설명했다.

“2020년 홍릉강소특구사업단 출범 후 2021년 \’이노폴리스캠퍼스 사업(GRaND-K 창업학교)\’을 시작했습니다. 예비창업 단계부터 투자유치, 일대일 멘토링, 주변 병원과의 임상시험 연계 등 전주기 지원을 창업기업이 단기간에 기업공개(IPO) 단계까지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2021년 홍릉 특구에 창업한 시프트바이오는 GRaND-K 창업학교 1기 대상 수상 기업으로, 차세대 의약품 소재로 주목받는 엑소좀(세포가 분비하는 물질) 치료제 원천기술을 개발해 창업 1년차에 100억원 규모의 기술이전을 성사시켰다.

같은 해 설립된 네오켄바이오는 의료용 대마(CBD)에서 추출한 뇌전증 치료제를 개발하는 업체로 지난해 100억원 투자유치에 성공했고, 큐어버스는 난치성 뇌질환 치료제를 개발하는 기업으로 지난해 임상 1상에 진입했다.

2019년 설립된 엔도로보틱스는 고려대병원의 인프라를 활용, 내시경과 호환되는 무절제 유연 수술로봇을 개발해 지난해까지 180억원의 투자유치에 성공했고, 같은 해 창업한 이마고웍스는 인공지능(AI) 기반 치과용 소프트웨어 개발기업으로 지난해까지 총 135억원의 투자유치에 성공했다.

이밖에 2017년 설립된 ICT기반 의료 서비스 제공업체 레몬헬스케어과 2018년 창업한 미세혈관 보호·회복기술 개발기업 인제니아는 올해 중 IPO를 추진 중이다.

임환 단장은 “미국 보스턴 클러스터의 경우 매사추세츠 주정부의 지속적인 육성정책이 마중물이 돼 민간투자와 대기업 입주, 이를 통한 글로벌 클러스터로의 성장이 가능했다”고 언급하며, “우리 정부와 지자체 역시 그동안의 수도권 과밀억제 정책에서 벗어나 기술집약형 창업과 벤처타운형 공장의 집적이 가능하도록 제도를 완화해 줄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