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 선정기업 셀플러스 코리아, 2024 넥스트 라이즈에서 혁신적인 열화상 카메라 기술 선보여

26

객체인식 인공지능(AI) 열화상 카메라와 AD/ADAS 알고리즘 개발용 센서 데이터 취득 및 재생 솔루션 전문 기업인 셀플러스 코리아(CellPlus Korea, 이하 셀플러스)가 올해 중소벤처기업부 주관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 기업으로 선정됐다.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는 중소벤처기업부가 총괄하고 창업진흥원이 전담하는 사업으로, 기존 초격차 5대 분야(△시스템 반도체 △바이오·헬스 △미래형 모빌리티 △친환경·에너지 △로봇)에 △AI·빅데이터 △사이버보안·네트워크 △우주·항공·해양 △차세대 원전 △양자기술 등 5개 분야를 더해 10대 초격차 산업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혁신적인 기술과 비전을 가진 대한민국 스타트업을 선정, 다양한 지원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셀플러스는 2020년 중소벤처기업부가 세계시장을 선도할 기술아이템을 보유한 미래유망 창업기업을 집중 육성하는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지원 프로그램인 TIPS R&D 기업으로 선정돼 ‘자율주행 AI 성능개선을 위한 피쳐 최적화용 전처리 장비 및 부품’ 개발 과제를 성공적으로 완수했으며, 2021년부터 국토교통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이 주관하는 KATRI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사업 ‘실차 시뮬레이션 기반 시스템 안전성 평가기술 개발’에도 참여하고 있다.

이어 2022년 중소벤처기업부 BIG3 혁신분야 ‘미래 모빌리티’ 부문 선정기업으로서 기술개발 과제에 참여했으며, 그 일환으로 올해 ‘미래차를 위한 차량용 ADAS 인공지능 SoC 장치’를 개발하며 2024년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 기업으로 선정됐다.

야간 상황에서 일반 비전카메라(좌측)와 셀플러스 열화상 카메라(우측)로 도로의 모습을 동시에 비교 촬영한 모습
야간 상황에서 일반 비전카메라(좌측)와 셀플러스 열화상 카메라(우측)로 도로의 모습을 동시에 비교 촬영한 모습

셀플러스는 차량용 비전센서 전문 S/W, H/W, F/W, AI 개발자가 모여 탄생한 기업으로, 악천후 및 야간상황에서도 안전한 자율주행을 실현하기 위해 고민해왔다. 그 결과 국방 분야에서 탁월한 성능을 인정받았으나 고급차가 아닌 일반차량에 장착하기에는 단가부담이 컸던 열화상 카메라를 혁신적인 제조방식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 있는 가격과 품질로 제공할 수 있게 됐다.

셀플러스의 열화상 카메라가 장착된 ADAS 및 AEB (자동 긴급 제동) 시스템 차량의 경우 저조도와 악천후(안개, 연기, 비, 눈 등) 상황에서도 탁월하게 전방 객체인식이 가능해 도로 위 충돌사고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셀플러스는 2024년 6월 13일부터 14일까지 양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넥스트라이즈 2024(NextRise 2024)’ 전시에 참여한다. 넥스트라이즈는 대한민국 최대 규모 단일 벤처·스타트업 행사로, 셀플러스 부스(Future Tech관, 부스번호 G-009)에 방문하면 보다 안전한 자율주행 알고리즘 개발을 지원하는 셀플러스만의 비전 센서 데이터 재생 솔루션과 올해 출시예정인 △높은 해상도 △획기적인 가격 △대량생산이 가능한 혁신적 셀플러스의 열화상 카메라를 만나볼 수 있다.

셀플러스 김정삼 대표는 “지난 2020년 넥스트라이즈 행사 내 IR피칭 프로그램을 통해 첫 엔젤투자를 유치할 수 있었다”고 감회를 전하며 “올해 출시 예정인 열화상 카메라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 있는 벤처기업으로 더 크게 도약하겠다”고 각오를 전했다.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