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에서 “추미애를 뽑지 않은 민주당이 두렵다” 반응 나오는 이유

14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장 후보로 당선된 우원식 의원이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제22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단 후보 선출을 위한 더불어민주당 당선자총회에서 꽃다발을 들고 미소를 보이고 있다. 왼쪽은 추미애 후보. / 뉴스1

제22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 후보에 16일 더불어민주당 우원식 의원이 선출되면서 이재명 대표의 리더십에 흠집이 간 게 아니냔 말이 나온다. 친명(친이재명)의 당 장악에 제동이 걸렸다는 평가까지 나오고 있다.

민주당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제22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단 후보 선출 당선자 총회를 열고 국회의장 후보 선출 투표를 진행했다. 결과는 놀라웠다. 추미애 국회의원 당선인이 뽑힐 것이라는 모두의 예상을 깨고 우 의원이 뽑힌 것.

추 당선인이 뽑힐 것이란 예측이 대세를 이룬 이유가 있었다. 추 당선인은 대놓고 친명을 자처하며 선명성을 내세웠다. 통상 제1당 최다선자가 의장을 맡는 관례도 그가 당선될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는 예측을 부추겼다.

이변이 발생한 이유가 뭘까. 추 당선인의 강경 이미지를 우려한 당선자들이 우 의원을 선택했을 가능성이 있다. 추 당선인은 최근 “국회의장은 중립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중립적인 스탠스를 취하려고 노력한 민주당 출신 국회의장들을 “다 된 밥에 코 빠뜨리는 우를 범했다”며 비판했다. 추 당선인이 적을 많이 만든 것이 주요 패인이라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국회의원 당선자들이 추 당선인의 ‘헛발질’을 떠올리며 우 의원을 선택했을 수도 있다.

추 당선인은 법무부 장관으로 재직할 때 윤석열 당시 검찰총장을 강력하게 견제해 지지층으로부터 환호를 받았다. 하지만 일각에선 윤 총장 중량감만 키워주는 것이 아니냔 반발을 산 것도 사실이다. 실제로 윤 총장은 추 당선인 등 문재인 정부 주요 인사와의 갈등을 통해 맷집과 존재감을 키워 대통령이 될 수 있었다.

민주당의 현재 위치가 자연스럽게 우 의원 우위로 이어졌다는 분석도 있다. 이미 수적 우위를 점한 상황에선 강력한 투쟁보단 표결 정당성을 확보하는 게 중요한 만큼 추 당선인보단 합리적인 행동파로 알려진 우 의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강제 교통정리’에 대한 반발의 결과일 수도 있다.

당초 두 사람을 포함해 조정식 의원·정성호 의원까지 넷이 국회의장 후보로 등록했으나 조·정 의원 둘은 중도 하차했다. 박찬대 민주당 원내대표가 둘을 따로 만나 설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두고 대한민국 권력 서열 2위를 당대표나 원내대표가 결정한다는 것은 잘못됐다는 지적이 쏟아졌다.

국민의힘은 민주당이 추 당선인 대신 우 의원을 택한 것을 어떻게 보고 있을까.

당대표 출마가 예상되는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중도층을 향한 민주당의 변화가 두렵다”고 밝혔다.

그는 “강성 지지층에게 더 많은 지지를 받은 추미애 당선인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온건한 우원식 의원을 선택한 민주당이 무섭다”며 이처럼 밝혔다.

그는 “민주당이 우원식 의원을 국회의장 후보로 선출했다. 추 당선인을 국회의장으로 뽑지 않았다는 것이 더 정확한 표현”이라며 “패배한 우리보다 승리한 민주당이 더 먼저 변하고 있다. 위기감을 가져야 한다. 민주당보다 우리 국민의힘이 더 빨리 더 크게 변해야 한다”고 말했다.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