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다가 다 내줄 판”…독도에 나타난 이상 징후, 이대로 가면 정말 큰일

134
집쥐 개체수 폭증으로
몸살 앓고 있는 독도… 대책 마련 시급
독도
출처: 독도 공식 홈페이지

독도에 살고 있는 집쥐의 개체수가 급속도로 늘어나면서 당국이 대책 마련에 나선 가운데, 독도 생태계 파괴에 대한 우려가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독도를 관할하는 환경부 대구지방환경청 관계자는 “이듬해 5월까지 연구용역에 나서 독도 내 집쥐 서식 현황을 확인하고, 퇴치 및 관리 방안과 추가 유입 방지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지난 19일 밝혔다.

그는 “독도 집쥐 문제는 인지하고 있었지만, 독도에 접근하기가 어렵고 사업 수행기관 선정 등의 문제가 있어 관리 사업 추진이 잘 되지 않는 상태였다”고 이야기했다.

이어서 “최근 관련 기관이 의지를 모아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으며, 실태조사와 관리 방안 마련에 초점을 두고 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집쥐, 도대체 무슨 생물이길래?

독도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집쥐는 독도에서 벼과 식물과 바다제비를 먹어치운다. 곳곳에 굴을 파 생태계를 교란시키므로 이전부터 방제가 필요한 종으로 판단되어 오고 있었다.

독도에 집쥐가 유입된 시기는 2010년경으로 추정되고 있다. 독도 생태계 모니터링 중 서도의 몰골 근처 자갈밭에서 집쥐 사체가 발견되면서 집쥐의 존재가 공식적으로 확인되었다.

동도에서도 2015년경부터 집쥐가 발견되고 있는 상황이다.

집쥐는 현재 독도에서 서식 중인 것으로 확인된 유일한 포유류이기도 하다.

독도
출처: 독도 공식 홈페이지

지난해 발표된 독도 생태계 모니터링 보고서에 따르면 독도에 서식 중인 포유류는 집쥐뿐이었다.

인간, 독도경비대에서 기르는 삽살개, 동도 부채바위 인근에서 지난해 3월 관찰된 물개 1마리가 있긴 하지만 이를 제외하면 독도에 서식 중인 포유류는 집쥐가 유일하다.

2021년 추산된 바에 따르면 독도 내 서식 중인 집쥐의 개체수는 약 100마리에서 150마리가량이었다.

그러나 독도 내 집쥐의 서식 반경과 밀도는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점점 많아지고 있는 독도 집쥐, 대책 마련 시급

독도
출처: 독도 공식 홈페이지

지난해에는 독도 내 집쥐를 파악하기 위한 3차례의 현장조사가 이루어졌다.

1차 조사 때는 동도 내 헬기장·독도경비대 태양광 발전시설·영해 기점 표기석 등 7개 지점에서 집쥐의 배설물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서도에서는 5개 지점에서 배설물이 눈에 띄었고, 어민 숙소 뒤편에서 굴도 발견되었다.

2차 조사 때는 총 8개의 지점에서 집쥐의 흔적을 찾을 수 있었으며, 굴도 2곳 확인되었다. 3차 조사 때는 서도는 조사하지 못했으며 동도에서만 6개 지점에서 배설물이 확인되었다. 굴 또한 2곳에서 관찰되었다.

독도 내에서 집쥐가 가장 많이 사는 것으로 추정되는 장소는 서도 주민 숙소다.

독도
출처: 독도 공식 홈페이지

관계자에 따르면 현재 집쥐가 독도 내에 몇 마리나 살고 있는지 정확하게 파악하기는 쉽지 않다.

또 독도는 육지로부터 200여 km나 떨어진 외딴 섬인데, 이곳으로 집쥐가 어떻게 유입되었는지도 아직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다. 독도에 드나드는 선박을 통해 유입되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을 뿐이다.

대구지방환경청은 독도 내 집쥐를 ‘박멸’하는 것이 아니라 ‘적절한 규모로 관리’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고 관련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집쥐 박멸 후 추가 유입을 막기 위해서는 사람의 왕래도 끊어야 하는데, 이러한 조치는 사실상 불가능한 조치이기 때문이다.

암수 한 쌍이 1년에 새끼를 460마리나 낳을 정도로 번식력이 왕성한 종인 만큼, 정부 차원의 신속한 대응과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실시간 인기기사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