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희도 입주민이라고요”..명품 아파트 수억들고 샀는데 ‘날벼락’, 대체 무슨일?

252
“싸게 할인 받고 이사 온다고? 절대 안돼!”
악성 미분양으로 골머리 썩는 시공사
미분양 아파트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좌) / 온라인커뮤니티(우)

“무책임한 할인 분양 결사반대!” “할인 분양 세대는 입주 금지!”

최근 대구시의 한 아파트에는 입주민들의 구호가 울려 퍼지고 있다.

대구에 미분양 아파트가 쌓여가자 어떻게든 입주민을 들이려고 하는 시행사와 기존 입주민들의 갈등에 불이 붙은 것이다.

“새로운 입주민? 절대 못 들어와!” 드러누운 기존 입주민

미분양 아파트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소동이 벌어지고 있는 아파트는 대구 동구 율암동의 ‘안심호반써밋이스텔라’로, 총 315가구 규모의 아파트다.

호반그룹 계열사인 호반산업이 시행과 시공을 동시에 맡아 2021년 3월 분양했고 당시 분양가가 34평 기준 4억 6천만 원 정도였으나, 준공한 지 1년이 넘도록 45가구가 미분양 아파트였다.

호반산업은 미분양 물량을 털기 위해 잔금을 5년 뒤에 납부하게끔 하거나 최대 9천만 원을 할인해 주는 등 파격적인 할인 혜택을 내걸었다.

그러나 이런 할인 혜택은 입주자들의 반발에 가로막혔다.

미분양 아파트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이렇게 아파트 분양가를 깎을 경우 집값이 떨어질 수 있으며, 무엇보다 할인 분양은 기존의 입주자들과의 협의 없이 진행되었다.

기존 입주민들은 아파트 단지 출입구에 무책임한 할인 분양을 비판하고 호반산업을 규탄하는 현수막을 내걸었으며, 서울 호반건설 본사 앞에서 트럭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아파트 인근의 공인중개사 A씨는 “입주민과 할인 분양 매수자들 간의 갈등이 계속되고 있다”며 “원래는 3~4월에 풀릴 예정이었던 미분양 물량이 언제 풀릴지 미지수”라고 말했다.

대구의 다른 아파트 역시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다.

미분양 아파트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또 다른 미분양 아파트인 수성구의 ‘빌리브헤리티지’는 2023년 8월 입주를 시작했으나 146가구 중 20%도 팔지 못했다.

이에 결국 공매로 넘어가 분양가보다 3~4억 원가량 낮은 가격에 팔리자 기존 입주자들은 대금 일부를 반환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정문을 비롯해 아파트 사방에 철조망을 치거나, 일부 입주민들은 자체 경계를 서며 새로운 입주를 반대하는 모습을 보였다.

수성구의 공인 중개 관계자인 B씨는 “대구 곳곳에서 미분양이 쏟아지며 기존 수분양자와 할인 분양자 사이의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미분양 아파트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할인 분양이 계속되는 한, 이런 상황은 계속되지 않겠느냐”고 의견을 밝히기도 했다.

쌓여가는 악성 미분양, 늘어가는 시장 불안감

한편 대구에서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인 ‘악성 미분양’이 늘어나는 추세를 보인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대구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1306가구로, 이는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서도 많은 수준이다.

미분양 아파트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가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올해 3월 기준 대구 아파트의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전국 미분양의 13.3%에 달하며 이는 지방 광역시도 중 가장 높은 비율이다.

이와 같은 ‘악성 미분양’ 가구들은 점차 늘어나며 시장의 불안감을 키우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3년 10월 주택 통계에 따르면 ‘악성 미분양’ 가구는 2년 8개월 만에 1만 가구를 넘겼으며,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일반적으로 분양 대금으로 대출과 공사비를 정산하는 건설사를 고려한다면, 악성 미분양 가구의 증가는 곧 자금난 위험성의 증가로 이어진다.

미분양 아파트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전문가들은 하나같이 이런 미분양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관계자는 “할인 분양은 건설사가 제시하는 일종의 자구책”이라고 설명하며, “이런 자구책으로도 미분양이 해소되지 않는다면 정부가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세제 감면 등 시스템 리스크를 해소하기 위한 정부의 대책이 요구된다.

실시간 인기기사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