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 첫 화면에 애플검색 등장했는데…네카오는 ‘규제 올가미’

432
아이폰 홈화면에 위치한 '스포트라이트' 검색기능. /사진=아이폰 캡처
아이폰 홈화면에 위치한 ‘스포트라이트’ 검색기능. /사진=아이폰 캡처

# 30대 직장인 A씨는 간단한 검색은 아이폰에서 한다. 첫 화면 하단에 ‘검색’ 버튼을 눌러 검색어를 입력하면 관련 웹페이지 목록이 곧바로 떠서다. 실제 러시아 무장 반란을 일으킨 ‘예브게니 프리고진’을 검색하자 관련 뉴스와 블로그 글이 ‘시리 추천 웹사이트’로 떴다. 관련 검색어를 ‘시리 제안’으로 추천해주기도 한다. A씨는 “포털 앱을 열지 않아도 첫 화면에서 바로 검색이 가능해 편리하다”고 말했다.

이는 애플의 ‘스포트라이트’ 기능이다. 아이폰 앱·사진·파일·연락처·메시지뿐 아니라 웹검색도 가능한 ‘꿀기능’이지만 접근성이 낮아 인지도는 제로에 가까웠다. 그러나 지난해 9월 애플은 iOS16을 출시하며 스포트라이트를 홈 화면 하단 노른자 땅에 재배치했다. 이를 두고 국내외 IT업계에선 애플이 독자적인 검색서비스 구축에 나선 것으로 해석한다.

이미 해외에선 애플을 구글의 잠재적 경쟁자로 본다. 애플이 2018년 구글의 검색 및 AI 책임자였던 존 지아난드레아를 영입한 데 이어 구글 검색 엔지니어 3명이 설립한 레이저라이크도 인수하는 등 검색역량 확보에 나서서다. 특히 레이저라이크의 공동 설립자인 스리니바산 벤카타차리는 200여명으로 구성된 검색팀의 선임이사로 스포트라이트와 시리 추천 검색기술을 개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스포트라이트, 구글 모방”…치열해지는 검색경쟁

스포트라이트에서 검색어를 입력하면 관련 웹페이지가 시리 추천으로 뜨고 관련 검색어도 추천해준다. 윤석열 대통령처럼 유명인 검색시 SNS와 웹이미지를 포함한 인물정보도 제공한다. /사진=아이폰 캡처
스포트라이트에서 검색어를 입력하면 관련 웹페이지가 시리 추천으로 뜨고 관련 검색어도 추천해준다. 윤석열 대통령처럼 유명인 검색시 SNS와 웹이미지를 포함한 인물정보도 제공한다. /사진=아이폰 캡처

더불어 애플은 스포트라이트의 검색영역을 넓혀왔다. 2021년 iOS15에선 스포트라이트로 웹상 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게 했는데, 이에 대해 존 헨쇼 코이울프(Coywolf) 창업자는 “구글의 검색결과를 직접 모방했다”라며 “애플이 구글의 쿼리(검색어 입력)를 서서히 빼앗아 구글의 시장점유율과 광고수익이 감소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스포트라이트 검색 시 구글 크롬이 아닌 애플 사파리로 검색결과가 뜬다. 스포트라이트와 유사한 삼성 갤럭시 ‘파인더’에서 검색어를 입력하면 ‘구글에서 검색’ 버튼이 뜨면서 크롬으로 연결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다만 애플은 여전히 구글을 기본 검색엔진으로 쓴다. IT전문매체 디 인포메이션은 애플이 자체 검색엔진 출시까지 최소 4년은 더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앞으로 글로벌 빅테크의 검색패권 경쟁이 더 치열해질 것이라는 게 업계 전망이다. 초거대 AI의 등장으로 데이터 중요성이 더욱 커져서다.

국내 IT업계 관계자는 “자체 검색엔진 없이도 애플은 스포트라이트로 iOS에서 이용자 검색패턴이나 사파리 이용기록 등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라며 “독자적인 단말기와 운영체제를 갖춘 애플이 구글의 검색 점유율 일부를 가져올 수 있다면 생태계 고도화는 물론 비즈니스적으로도 더 다양한 전략을 구사할 수 있어 욕심낼 만한 분야”라고 말했다.

미중, 자국 플랫폼 힘싣는데…한국만 “네카 규제”

/사진=머니투데이 DB
/사진=머니투데이 DB

문제는 애플도 검색시장 진출을 타진할 정도로 글로벌 경쟁이 치열해지는데 한국은 ‘포털 때리기’에 골몰한다는 점이다. 한국판 디지털시장법(DMA)로 불리는 공정거래위원회 온라인플랫폼 독과점 규제가 대표적이다. 문제 시에만 제재하는 현행법과 달리 대상기업을 미리 정해 의무를 부과하는 사전 규제방식이 유력한데, 업계에선 경영에 상당한 제약을 미칠 것으로 우려한다.

한국인터넷기업협회(인기협)에 따르면 이 외에도 온라인 플랫폼 규제법안 17개가 국회 계류 중이다. 미국은 중국과의 AI 패권 경쟁이 심화하자 상하원에 계류된 빅테크 규제 6개 중 5개를 폐기하고 틱톡·핀둬둬 등 중국기업을 압박했다. DMA도 유럽이 미국 빅테크를 견제하고 자국 플랫폼을 육성하기 위해 마련한 규제라는 점에서 한국만 글로벌 트렌드를 역행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인기협은 “자국 플랫폼 기업 힘이 약해지면 미국·중국 기업이 빈자리를 차지해 국가 경제 성장률이 저하될 것”이라며 “지금 정부와 국회는 온라인 플랫폼 규제를 논의할 시기가 아니라 국내 기업이 글로벌 빅테크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국가에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