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객기 객실 선반에서 발생한 화재로 대형 인명사고가 겪을 뻔했던 에어부산이 기내에서 보조배터리를 엄격하게 관리할 방침이다.
4일 에어부산은 승객 탑승 전 기내 수화물에 리튬이온 배터리 등 화재 위험 물체가 있는지 확인하는 등 화재 예방 대책을 수립해 오는 7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에어부산은 보조배터리 기내 탑재가 큰 폭으로 증가해 발열 등 이상 현상 발생 빈도가 높아짐에 따라 신속한 초동 조치를 위해서는 즉각적인 발견이 중요하다고 판단해 이런 대책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탑승구에서 직원들은 승객들에게 구두로 리튬이온배터리가 들어 있지 않은지 확인한 뒤 확인된 수화물에 태그(TAG) 등 별도의 표식을 부착하게 된다.
기내에서는 이 표식이 있는 수화물만 선반에 보관할 수 있다. 만약 표식이 없는 수화물이 선반에 올려져 있으면 승무원들이 직접 리튬이온 배터리가 들어있는지 확인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에어부산은 7일부터 일부 노선에 시범 운영하고 이후 모든 노선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에어부산 관계자는 “보조배터리의 기내 탑재를 전면 금지할 수 없는 현실을 감안해 탑승객 스스로 점검을 유도하고 배터리의 이상 현상이나 화재 발생 시 신속한 초기 대응을 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기 위한 취지”라고 설명했다.
에어부산은 또 예약·발권 과정과 탑승수속 단계에서 보조배터리 기내 선반 탑재 금지에 대한 승객 동의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다.
출발 하루 전 예약 고객 대상 별도의 안내 문자를 발송하는 등 고객 안내 조치도 강화하고, 기존 안내 방송도 2회에서 3회로 확대키로 했다.
에어부산은 기내 화재 발생 시 신속한 초기 대응과 효과적인 화재진압을 위해 객실 승무원 훈련도 대폭 강화하기로 했다.
교육용 화재진압 시범 동영상을 직접 제작해 모든 승무원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하고, 화재 단계를 고려한 상황별 모의 훈련도 함께 진행키로 했다.
사옥에는 연무기 설치 등 실제와 유사한 화재진압 훈련시설을 갖춰 승무원이 훈련하기 적합한 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또 배터리 화재 발생 시 열폭주와 폭발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비와 승무원용 방화 장갑도 구매해 항공기에 구비할 예정이다.
정병섭 에어부산 대표이사는 “기내 화재에 대한 손님들의 우려와 불안을 해소하고 안전한 여행 환경을 확보하기 위해 에어부산이 선제적으로 강화 정책을 수립하게 됐다”고 말했다.
- 구글 작년 4분기 매출·클라우드 시장 눈높이 미달…시간외 주가 급락
- 삼성전기, 자율주행 핵심장치 라이다용 고전압 MLCC 개발
- ‘반도체 위기론’에도 삼성전자 지난해 신규 고용 가장 많이 늘렸다
- ‘은둔의 경영자’ 이해진의 귀환…7년 만에 네이버 이사회 의장 복귀
- [풀·꽃·나무 이야기] 잎이 넓고 아름답지만 독에 주의하세요…디펜바키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