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빛섬’ 실패에도 또?…오세훈표 한강 개발, 환경파괴·눈덩이 적자 우려

26
서울시가 오는 10월부터 운행하는 한강 리버버스에 대한 실효성 문제가 불거지고 있다. 사진은 서울 송파구 한강 잠실선착장 전경. 김다니엘 기자

▲서울시가 오는 10월부터 운행하는 한강 리버버스에 대한 실효성 문제가 불거지고 있다. 사진은 서울 송파구 한강 잠실선착장 전경. 김다니엘 기자

오세훈 서울시장이 한강 개발에 강하게 드라이브를 걸고 있지만 접근성 문제나 환경 오염, 적자 및 예산 낭비 논란이 여전하다. 과거 세빛섬의 실패가 반복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일 서울시에 따르면 오 시장은 지난달 29일 한강에 수상호텔, 오피스, 서울항 등을 조성한다는 내용의 \’한강 수상 활성화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은 지난해 3월 발표된 \’그레이트 한강 프로젝트\’의 후속 조치다. 그레이트 한강 프로젝트가 강변 개발을 핵심으로 했다면 이번 계획은 수상시설 개발에 초점을 뒀다는 점이 다르다.

구체적으로 홍수기 때 한강 수위가 올라가도 안전한 수상 오피스와 호텔, 세계 음식을 맛보는 수상 푸드존이 들어선다. 오는 10월부터 마곡에서 잠실까지 리버버스를 운행한다. 잠실과 이촌엔 항만 역할의 마리나를 건립하고 선박 계류장도 지금의 130개에서 1000선석으로 늘릴다는 계획이다. 경인 아라뱃길과 연계한 \’서울항\’도 조성한다. 민간투자 3135억원, 서울시 예산 2366억원 등 총 5501억원이 투입된다. 시는 현재 연간 90만명 수준인 한강 수상시설 이용자(유람선·계류시설·수상레저 등)를 종합계획이 마무리되는 2030년까지 1000만명 수준으로 늘리겠다는 구상이다. 시는 이번 프로젝트가 6800명의 일자리 창출과 연간 9256억원의 경제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이를 두고 일각에선 \’무리한 토건\’ 사업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특히 2년 후면 임기가 끝나는 오 시장이 2030년까지 진행될 이 계획을 발표, 향후 정치적 입지를 위한 \’치적 쌓기\’용 정책이란 지적도 있다.

오 시장은 2007년 한강르네상스 사업, 2023년 그레이트 한강 프로젝트, 2024년 한강 수상활성화 종합계획으로 사업을 이어왔다. 문제는 막대한 예산에도 불구하고 결국엔 한강 특유의 문제점인 인근 지역·교통 수단과의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것을 극복하지 못한 채 많은 한계를 노출했다는 점이다.

온라인 누리꾼들 사이에선 “한강에 돈이라도 빠트렸나? 허구한 날 한강을 왜 뒤짚어”, “생각할 수 있는게 토건사업 뿐이냐”라는 등의 싸늘한 반응이 나온다.

김상철 나라살림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지난해 발표된 그레이트 한강 프로젝트가 현재 제대로 진행되고 있는 게 거의 없는 상황인데 새로운 한강개발 사업이 또 등장했다”며 “시민들의 동의를 바탕으로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아니라 정치적인 맥락이 작용하고 있는 것 같다”고 비판했다.

비용 낭비를 우려하는 시각도 적지 않다. 만성적자로 시름했던 세빛섬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는 것이다. 세빛섬은 오 시장의 과거 \’한강 르네상스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추진돼 2014년 개장했으나 대규모 적자 논란을 겪으며 \’세금둥둥섬\’이라는 오명을 안기도 했다. 세빛섬은 초기 운영비에 더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가 겹치며 연속 적자를 이어오다 지난해 겨우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2022년까지 8년째 완전 자본잠식 상태에 있었고, 2023년 기준 누적결손금 1217억 원에 자본잠식률은 285%(완전자본잠식상태인 100% 이상)를 기록했다.

김 수석연구위원은 “수상호텔을 짓겠다고 하는데 서울시내 숙박시설이 부족하지 않은 상황에서 이러한 정책을 추진하는 것은 눈덩이 적자가 발생했던 세빛섬보다 더 현실성이 없다”고 지적했다.

환경파괴 우려에서도 자유롭지 않다. 여객선이 오가기 위해선 준설이 불가피해 도심 속의 람사르습지로 지정된 밤섬을 포함해 한강의 곳곳을 터전 삼는 철새들의 보금자리가 파괴될 수 있기 때문이다.

김동언 서울환경연합 정책국장은 “리버버스가 다니려면 강 바닥을 파내야 하는데 옥수 등의 선착장은 철새들이 많이 찾아오는 곳으로 생태계의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며 “그레이트 한강프로젝트의 자연성 회복 사업이 일부 포함되어 있지만 대규모 토목사업은 한강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꼬집었다.

오는 10월 운항을 시작할 한강 리버버스를 두고서도 안전 문제, 수익성 등이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일정을 맞추기 위해 시민의 안전이 담보되지 않은 채 무리하게 추진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시가 지난 3월 설계승인 후 건조에 착수한 리버버스용 150t급 여객선 8대는 현재 3개 조선소에서 건조 중으로 9월 말 완공될 예정이다. 그러나 서울시의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충분한 시범 운행 등 안전 점검이 필요하다고 반대하고 있다.

송재혁 시의원은 “리버버스용 선박은 시민의 안전을 책임지게 될 여객선임에도 6개월이라는 초단기간에 투입될 예정”이라며 “서울소방청의 50t급 소방 선박 교체도 시간을 갖고 안전 점검을 진행하는 것과 비교해 무리한 일정”이라고 지적했다.

+1
0
+1
0
+1
0
+1
0
+1
0